[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대상포진과 폐렴은 초기 증상이 감기와 유사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전문가들은 고령층에서 중증으로 악화되거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만큼 예방접종을 강조하고 있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정하 교수에 따르면 대상포진은 신경절에 잠복한 수두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대상포진 환자의 67%가 50대 이상으로, 장년층 이상 연령대에서 특히 취약하다.
![]() |
▲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정하 교수 |
대상포진은 발열·근육통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이후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 극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박 교수는 “대상포진은 발병 초기에 치료해야 후유증을 막을 수 있다”며 “60대 이상 또는 만성질환자는 포진 후 신경통이 장기간 지속돼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폐렴 역시 고령층에서 치명적이다.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 사망자의 90%가 65세 이상으로 집계됐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기침, 발열, 가래 등 호흡기 증상과 전신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박 교수는 “폐렴은 중증으로 진행된 뒤에야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며 “가벼운 기침이나 발열에도 고령층은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예방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백신 접종이다. 대상포진 백신은 50세 이상 성인에게, 폐렴구균 백신은 65세 이상 고령층과 만성질환자·면역저하자에게 권장된다. 최근에는 대상포진 후유증 감소 효과가 더 큰 사백신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폐렴구균 백신은 최대 84% 예방 효과를 보인다.
박 교수는 “권장 연령에 도달했다면 접종을 미루지 말고 서둘러야 한다”며 “대상포진 백신과 폐렴구균 백신은 동시 접종도 가능하므로 접종 이력을 확인해 계획적으로 맞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