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강화에 부실 확대 불가피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리스크가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비율이 36%를 넘겨 1년새 2배 가까이 늘었고 부실채권 잔액도 3개월 만에 1조원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 |
▲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
2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말 증권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36.31%였다. 이는 1년 전 작년 3월 말(19.78%)의 2배 수준이다. 전 분기인 작년 말(30.01%) 대비해서도 6%P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을 말한다. 고정이하여신 잔액도 빠르게 늘고 있다.
작년 말 1조원에 불과했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2조300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 3월에는 3조2천억원으로 3개월 만에 9000억원 불어났다.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전 등 다른 금융업권에서도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늘어나는 추세다.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6000억원에서 올해 3월 1조1000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같은 기간 6.63%에서 12.06%로 각각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캐피탈사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000억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비율은 5.08%에서 6.0%로 늘었고 카드사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900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5.44%에서 6.72%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된 만큼 2분기 이후 각 업권의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당분간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사업성 평가 기준을 '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 등 4단계로 세분화한 뒤, 금융사들에 엄격해진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부동산 PF 사업장을 재평가하도록 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