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연세사랑병원이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기구 ‘니비게이트(Kneevigate)’를 도입하고 본격적인 임상에 돌입했다. 이번에 도입된 기술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로 지정된 혁신 의료기술이다.
‘니비게이트’는 환자의 MRI 영상을 AI로 분석해 3차원(3D) 모델로 구현한 뒤, 이를 바탕으로 3D 프린팅으로 제작되는 맞춤형 수술 기구다. MRI를 활용해 연골 상태까지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어 기존 CT 기반 기술의 한계를 보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 연세사랑병원, AI 기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기구 ‘니비게이트’ 임상 착수 |
이 시스템은 수술 전 환자의 관절 상태를 정밀 분석해 최적의 수술 계획을 세우고, 수술 과정에서는 절삭 범위를 최소화해 수술 단계를 줄인다. 맞춤형 기구를 통해 인공관절 삽입 정확도를 높이고 환자 개별 해부학적 특성에 최적화된 수술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인공관절 수술은 환자의 뼈와 관절 구조를 정확히 파악해 꼭 필요한 부위만 절삭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AI 기반 니비게이트는 맞춤형 수술을 가능하게 해 인공관절 수명 연장과 환자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안정성과 혁신성을 인정해 신의료기술 평가 유예 대상으로 지정한 만큼, 환자들에게 더욱 정밀하고 안전한 수술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의료기술 평가 유예 제도는 정부가 안전성을 인정한 혁신 의료기술에 대해 일정 기간 평가를 유예하고 의료 현장에서 활용을 허용하는 제도다. 현재 연세사랑병원을 비롯해 서울대 보라매병원, 세브란스병원(신촌·강남·용인), 이대서울병원, 인하대병원, 제주대병원 등 주요 병원이 임상에 참여하고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