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인잭, 척추압박골절 환자 생존율 개선 기대

건강·의학 / 주영래 기자 / 2025-09-09 08:13:14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스트라이커(Stryker)는 고령층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치료 솔루션으로 상하축 확장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활용한 ‘경피적 척추압박골절 보강술(상품명 스파인잭·SpineJack)’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삶의 질 개선에도 기여한다고 9일 밝혔다.


스파인잭은 2024년 3월 보건복지부로부터 평가유예 신의료기술로 지정돼 현재 국내 주요 전문병원에서 도입·운용 중이다.
 

▲ 스파인잭, 척추압박골절 환자 생존율 개선 기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골다공증 환자 수는 2020년 105만 명에서 2024년 132만 명으로 4년 새 26% 증가했다.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은 일상적인 동작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방치 시 통증·기능 저하·정렬 불균형은 물론 장기적으로 활동성 감소와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 상승을 유발한다.

미국 메디케어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척추압박골절 환자 중 수술적 치료군이 비수술군 대비 사망 위험이 37% 낮았다. 특히 풍선확장술을 받은 환자는 척추성형술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23% 더 낮았으며, 3년 생존율은 7.29%포인트 높았다. 해외 다수 연구에서도 척추체의 해부학적 복원이 단순한 통증 완화를 넘어 평균 생존 기간을 1~2년 연장시키는 효과가 확인됐다.

스파인잭은 풍선 대신 티타늄 확장형 임플란트를 삽입해 무너진 척추체를 단계적으로 복원한 뒤 골시멘트를 주입·고정하는 방식이다. 확장 장치가 시멘트 경화 과정에서도 복원된 높이와 각도를 유지하며, ‘블로킹 튜브’를 통한 주입으로 시멘트 누출 위험도 낮췄다. 국제 임상연구에서는 복원력·정렬 유지·기능 회복 등에서 기존 시술 대비 우수한 결과를 보고했다.

한국스트라이커 심현우 대표이사는 “스파인잭은 고령화로 증가하는 척추압박골절 환자의 예후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며 “스트라이커는 척추체 복원 분야에서 혁신을 이어가며 환자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스파인잭은 유럽·미국·아시아 등 전 세계 의료기관에서 활용 중이며, 풍부한 임상 데이터를 통해 안정성과 장기적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