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유동성 위기 확산...지난해 종합건설사 폐업 18년 만 최고치

건설 / 장준형 / 2024-01-12 15:50:29
종합건설사 폐업 581건 전년대비 219건 증가
올해 첫 법정관리 신청도 시공능력 100위권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태영건설이 우여곡절 끝에 12일 채권단으로부터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받는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문제가 건설업계 전반을 강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지난해에는 2005년 이후 18년 만에 건설시장에서 원도급자에 해당하는 종합건설사 폐업이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발간한 '1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 폐업 공고 건수는 총 581건으로 전년 대비 219건 증가했다. 

 

▲종합건설사 연도별 폐업건수.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간 종합건설기업 폐업 건수를 보면 2005년 629건 이래 1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폐업 건수는 상반기(1~6월) 248건, 하반기(7~12월) 333건으로 각각 조사됐다. 특히 부동산 PF리스크가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작년 12월의 경우 종합건설사 폐업 건수는 2023년 월별 기준 가장 많은 74건으로 나타났다.

종합건설업체는 발주자, 원도급자, 하도급자 등으로 나뉘는 건설 시장에서 원도급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고, 하도급자에 해당하는 전문건설업체에 하청을 주는 경우가 많아 종합건설업체 폐업은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이런 폐업 증가는 건설수요 급감에 기인함으로 연간 폐업 건수를 보면 건설 불황 사이클과 맞물린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지난해 11월 건설수주는 12조8천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 급감했다. 전월과 비교해도 9.9% 줄었다.

특히 민간수주가 전년 동월 대비 35.4% 급감했다. 민간 수주는 모든 공정에서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부동산PF 시장경색으로 인해 올해에도 건설‧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업계는 올해 폐업하는 종합건설사 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한 가운데 올해 첫 법정관리 신청사도 건설사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공능력 176위인 영동건설이 지난 2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과 100위권 건설사까지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위기설이 일파만파로 퍼지는 가운데 미분양으로 고전하는 지방 건설사들의 상황이 더욱 악화일로하는 진단이 나온다. 

복수의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올해도 건설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PF리스크도 현실화 되면서 자금력이 약하고 분양 상황이 안좋은 종합건설사들부터 도미노처럼 쓸러질거고 전문건설사도 같이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작년 수주가 전년보다 20% 이상 감소하는 등 굉장히 좋지 않았다"며 "올해도 PF 물량 등 제반 환경을 볼 때 수주 환경이 좋지 못한 상황"이다. 다만 정부가 올해 사회간접자본(SOC)을 늘릴 예정이라고 하니 조금 더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