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지난 6월말 기준 17.28%대를 기록하며 불과 3개월 새 1.40%P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특단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 |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
금융위원회는 12일 서울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PF 시장 및 대주단 협약 가동 상황을 점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지난 3월 말(2.01%) 대비 0.16%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1.19%) 대비로는 1%포인트가량 오른 것이다.
이 기간 증권사는 15.88%에서 17.28%로 1.40%포인트 오르는 등 전 금융권에서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험은 0.07%P(0.66%→0.73%), 저축은행은 0.54%P(4.07%→4.61%). 상호금융은 1.03%P(0.10%→1.12%) 늘었다. 더욱이 연체율이 0%였던 은행권 연체율이 0.23%로 증가했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187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2곳에 대해 기한이익 부활,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만기 연장 등 정상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업 진행단계별로 브릿지론이 144개로 전체 협약 중 77.0%를 차지했다. 본PF 대비 이해관계자 간 조정 필요성이 큰 브릿지론에 대주단 협약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84곳(경기 44곳, 서울 24곳, 인천 16곳), 지방 103곳에 협약이 적용됐다. 용도별로는 주거시설(114곳)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장에 적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점검회의에서는 이달 중 본격 가동을 앞둔 1조원 규모의 캠코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 조성·추진 상황도 점검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부동산 PF 사업장의 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성 제고와 이를 전제로 한 신규 자금 투입이 현재 부동산 PF 시장의 정상화와 원활한 주택공급에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