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급식에 '장난질'...사조 푸디스트, 군 급식에 '먹칠'

유통·MICE / 심영범 기자 / 2025-09-30 12:19:15
해군사관학교에 스페인산 돼지고기 국내산 표기해 납품 후 적발
푸디스트 측 "현재 당국 수사에 성실히 임하는 중"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사조그룹의 식자유통 및 단체급식 계열사 푸디스트가 해군사관학교에 급식용 돼지고기 원산지를 속여 납품해 논란이 일고 있다. 육·해·공군에 급식을 동시 운영하는 최초의 민간업체로써 신뢰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군에 납품된 원산지 위반 식품의 규모는 총 210만 킬로그램에 달했다. 위반 금액은 172억 원에 이른다. 

 

▲ 푸디스트가 해군사관학교에 급식용 돼지고기 원산지를 속여 납품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푸디스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고기류의 원산지 거짓 납품이 209만 킬로그램, 170억 원으로 전체의 99%를 차지했다. 

 

군 급식 원산지 위반은 2022년 도입된 ‘군 급식 민간위탁 시범사업’이 2023년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매년 적발되고 있다. 민간위탁은 현재 육해공군 38개 부대, 약 6만 명의 장병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원산지 위반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입산 가공품 위주의 군납 현실이 지적된다. 민간위탁 업체 선정 및 계약 유지 과정에서 국내산을 활용할 경우 계약 가점을 받기 위해 물품을 국내산으로 거짓 표기하고, 실제로는 납품 수익 극대화를 위해 원산지를 속이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원산지 위반 행태는 '군 급식 민간위탁 시범사업'이 2023년 본격 시행된 이후 매년 반복적으로 적발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민간위탁 업체 선정 및 계약유지 과정에서 '국내산 가점'을 받기 위해 거짓 표기를 하고, 실제로는 저렴한 수입산 식재료를 사용해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관행이 문제의 핵심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군 급식 전반에 걸친 투명성 강화와 관리·감독 시스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해군에 원산지를 속여 납품한 업체 중 한 곳은 푸디스트로 드러났다. 푸디스트는 지난 2024년 2월 경남 창원에 위치한 부대의 민간위탁업체로 선정됐다. 이후 해군과 공군 4개 부대에 군 급식을 납품하고 있다. 

 

푸디스트는 올해 3월 스페인산 돼지고기 1만㎏을 국내산으로 표시해 공급했으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 경남지원에 적발됐다.

 

농관원 경남지원 관계자는 "현재 피의자(푸디스트) 신분으로 입건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푸디스트는 지난해 9월 경쟁 입찰에 참여해 해군사관학교 내 4개 급식소에 대한 사업권 수주에 성공했다. 푸디스트는 2022년 이후 사관학교를 포함한 해군부대의 총 11개 급식소를 운영 중이다. 푸디스트는 2021년 육군 1개 부대, 2022년 5월 공군 1개 사령부 지점을 수주하면서 육·해·공 3군 급식을 동시 운영하고 있다.

 

한편 사조그룹은 지난해 6월 푸디스트를 인수했다. 사조오양과 사조CPK가 각각 800억원, 1720억원을 투입해 지분 99.86%를 인수했다.

 

업계에서는 사조가 푸디스트를 인수한 뒤 푸디스트가 단기 수익에 집착한 나머지 원산지까지 속여가며 이익을 내려고 한것이 아니냔 의구심도 나오고있다. 푸디스트는 급식·기업 간 거래(B2B) 유통 채널을 통해 그룹 내 핵심 공급망 역할을 맡고 있어서다. 

 

푸디스트 관계자는 관련 논란에 대해 "현재 당국의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업계 관계자는 "원산지 위반 적발 규모가 상당한 것은 공급망 관리와 내부 통제 시스템의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라며 "위탁급식업계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사전 예방 시스템 강화와 리스크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군 급식의 경우 특수 시장에 속하지만 투명한 운영이 중요하다"며 업체에서 원산지 위반 등을 범할 경우 적절한 제재를 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상도 중앙대 식품공학부 교수는 "원산지 위반은 품질이나 안전 문제는 아니지만 윤리적인 측면에서 큰 문제"라며 "고의성이 다분하므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