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핵심부품 '전력반도체' 세미나, 차세대 소재 SiC와 GaN의 개발 현황은?

4차산업혁명 / 류수근 기자 / 2018-02-27 17:02:27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최근 전력반도체 시장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산업 각 분야는 물론 사회 전반적으로 전력부품 수요 증가하고 있고, 특히 세계적으로 전력반도체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부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력반도체는 인공지능(AI), 로봇, 사물인터넷, 스마트팩토리 및 자동차의 전장화, 친환경화의 비중 확대를 비롯한 태양광, 풍력발전, 송전, 전력 소비 등에 두루 소비되고 있다.


일본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의 전력반도체 세계 시장규모는 231억 달러, 2025년에는 339억1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0년부터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탄화규소(SiC)와 질화갈륨(GaN) 소재의 전력반도체 시장 수요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산업교육연구소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부품! 전력 반도체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및 상용화 세미나'를 오는 3월 20일 여의도 사학연금회관 2층 세미나실에서 연다고 밝혔다.



[사진= 산업교육연구소 제공]


전력 반도체(파워 반도체, Power Semiconductor)란 전기 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해 직류·교류 변환, 주파수 변화, 전압 등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반도체로, 전력 생산 단계부터 사용 단계까지 다양한 기능을 행한다. 전력 반도체 모듈 칩들은 다양한 설계 구조를 가진 트랜지스터 같은 부품들로 이뤄져 있다 .


산업교육연구소가 개최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전력반도체의 4대 소자별 개요 및 상용화 동향과 기술경쟁력 분석, △국내외 전력반도체 산업의 최근 트렌드 및 시장 분석과 참여 기업체 사업 동향,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인 전력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중점 추진 R&D분야 및 주요 성과,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 방향과 주요 기술과제,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 방향과 주요 기술과제, △스마트카·수소, 전기차용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과 응용 분야 및 주요 기술 이슈, △신재생에너지용 전력반도체 연구, 기술개발과 응용 분야 및 주요 기술 이슈 등 전력반도체의 제반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세미나 발표자로는 LG경제연구원 김경연 연구위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손광준 지능형반도체 PD, 한국전기연구원 전력반도체연구센터 김상철 박사, 동의대학교 이원재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재경 박사, ㈜루미지엔테크 이혜용 대표이사,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코리아㈜ 이승수 대표이사, 세미크론코리아㈜ 성낙규 실장 등이 나선다.

산업교육연구소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탄화규소 및 질화갈륨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및 업계 동향을 살펴보고 용도별 분석을 통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인 전력반도체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결실 있는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