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유원형 기자] 인공지능은 과연 인류의 삶을 더 윤택하게 해 줄까?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펼쳐진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은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세기의 대결이었다. 역사에 남을 대국이었던 만큼 대국 자체만으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새롭게 떠오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었다.
24일 오후 9시에 방송되는 아리랑 TV 시사토론 프로그램 'UPFRONT'는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을 통해 보는 '인공지능 시대의 명암'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다.

이번 방송에서는 장병탁 교수(서울대 컴퓨터 공학부)와 서일홍 교수(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융합전자공합부) 두 명의 전문가와 함께 토론을 진행한다.
서일홍 교수는 이번 대국에서 알파고가 보여준 결론 도출의 원리를 설명했다. 그는 "알파고는 3개의 프로 가이드가 있다. 다른 움직임을 예측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승률을 높인다"고 말했다.
알파고는 초반 3승을 챙겼지만 4번째 대결에서는 이세돌이 승리를 따냈다. 이에 대해 장병탁 교수는 "알파고는 빅데이터로 사람의 경기 패턴을 다 분석했음에도 인간이 승리를 했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고 말했다. 덧붙여 서일홍 고수는 "알파고의 데이터 부족이다. 알파고도 완벽하지 않고 허점이 존재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바둑 특화 인공지능인 알파고를 다른 영역에서 응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장병탁 교수는 "알파고 기술 자체는 딥러닝을 통하여 다른 영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며 주식이나 의료분야 등 정밀한 계산이 필요한 분야를 예시로 들었다. 이에 대해 서일홍 교수 또한 동의하며 요리나 보안 등 일상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기대도 있지만 우려 또한 존재한다. 일자리 문제가 대표적인 고민거리다. 이에 대해 장병탁 교수는 "어느 부분은 인공지능이 대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로 인해 생겨나는 직업도 있다"고 설명하며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가져올 양면성에 대해 언급했다.
서일홍 교수는 "창의적인 교육환경 조성과 전문가 육성이 필요하며,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탁 교수 또한 "한국에는 경쟁력 있는 인재가 많음으로 가능성이 많다. 젊은이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가르치고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며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우리 사회의 경각심을 촉구하며 토론을 마무리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