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4인 TV토론, 권력구조 개편·외교안보 정책 등 정치분야 주제...李·尹 '安心 쟁탈전' 주목

정치 / 류수근 기자 / 2022-02-25 18:03:19
대선 12일 앞두고도 양강 초박빙 판세에 '安心 쟁탈전' 양상
李, '다당제 연합정치 보장' 등 정치개혁안으로 공개 구애 전망
尹, 야권 후보 단일화 무산 위기 속 安과 설정 스탠스 주목

여야 대선 후보 4인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두 번째 TV토론회에서 나흘만에 다시 공방에 나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정의당 심상정·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25일 오후 8시부터 2시간 동안 상암 SBS 프리즘타워 공개홀에서 열리는 토론회에 참석한다.

4인의 후보가 모인 네 번째 TV토론이면서 지난 15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이후 두 번째로 열리는 TV토론이다.

이번 토론은 ‘권력 구조 개편’과 ‘남북 관계와 외교 안보 정책’ 등 2개의 정치 분야 주제와 자유 주제의 주도권 토론 등으로 진행된다.
 

▲ 지난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에서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정의당 심상정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이번 토론은 정치 분야가 주제인데다 마침 이 후보 측이 전날 선거제 개혁 및 개헌 등이 담긴 정치개혁안을 발표했고, 윤 후보와 안 후보 간 야권 후보 단일화가 무산될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개최돼 더욱 관심을 모은다.

이 후보 측의 정치개혁안은 ‘실질적인 다당제 연합정치 보장’ 등을 골자로 한다. 이를 두고 사실상 안 후보에게 보내는 공개 구애가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정치 개혁을 고리로 안 후보를 포함한 ‘제3지대’ 후보들과 연대를 구성하고 윤 후보를 고립·포위하겠다는 막판 선거 전략이라는 관측이다.

또, 야권 후보 단일화가 무산될 위기에서 이 후보와 윤 후보 간 초박빙 판세가 이어지고 있어 윤 후보가 안 후보에 대해 어떤 스탠스를 취할지도 주요 관전포인트로 꼽힌다.

이에 이·윤 후보가 서로 안 후보의 손을 잡고자 다투는 ‘안심(安心) 쟁탈전’ 양상이 이번 TV 토론회에서 나타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이번 TV토론회는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 정세 급변 속에 열려 외교적 대응 방안과 남북 관계 해법 등에 대해서도 각 후보 간 격론이 예상된다.

지난 15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이후 처음 열렸던 지난 22일 선관위 주관 첫 TV토론회는 ‘코로나 시대 경제 대책’과 ‘차기 정부 경제 정책 방향’ 등을 주제로 한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해 120분에 걸쳐 격돌을 펼쳤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전 두 차례에서와는 달리 대선 후보 4인이 경제 분야뿐 아니라 민감한 현안까지 탐색전 없이 한층 거칠고 날카로운 격론을 펼쳤다.

특히, 대장동 사업 관련 수세에 몰렸던 이 후보는 비판과 반박으로 대응하는 ‘공격수 본능’을 한층 강화하며 공세적으로 임했고, 이에 윤 후보도 물러서지 않고 네거티브에는 확실히 맞받아치겠다는 전략으로 임하는 모습이었다.

윤 후보는 이 후보 부인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꺼냈고, 이 후보는 최근 공개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 통화 녹취록 패널을 꺼내들며 반격했다.

이 후보는 ‘김만배 녹취록’을 근거로 대장동 사업 관계자들과 윤 후보의 관련성 의혹을 제기하며 ‘윤석열 게이트’로 선공하며 프레임 전환을 시도했다. 

 

이에 윤 후보는 ”제가 듣기론 그 녹취록 끝에 ‘이재명 게이트’란 말을 김만배가 한다는데 그 부분까지 포함해 말씀하시는 게 어떠냐“고 맞받아쳤다.

이재명 후보가 추경안을 꺼내며 윤석렬 후보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자 윤 후보는 오히려 민주당과 이 후보가 선거를 앞두고 말을 바꿨다고 반격했다.

이에 심상정 후보는 추경안을 놓고 거래하지 말고 손실보상법부터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며 거대 양당 후보를 한 번에 공격했다.

안철후 후보 역시 추경으로 땜질하는 것은 비정상이고 국가 재정을 누더기로 만든다며 ”코로나19 특별회계“의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다.

안 후보는 정부 데이터 개방에 대한 윤 후보의 답변을 듣고 나서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윤 후보가 질문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당시 차기 정부 경제정책 방향과 관련해 이 후보는 루스벨트 뉴딜정책 방식의 경제부흥책을, 윤 후보는 디지털 데이터 경제를, 심 후보는 불평등 해소와 녹색 전환을, 안 후보는 산업 구조조정과 과학기술 투자·인재양성을 제시했다.

선관위 주관 법정 대선 후보 간 TV토론회는 21일 경제 분야, 이날 정치 분야에 이어 2일엔 사회 분야를 놓고 마지막 공방을 펼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