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신영증권·한기평·한신평 검사…MBK도 조준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금융당국이 홈플러스가 발행한 기업어음(CP)·단기사채 등과 관련해 위법 소지가 발견되면 엄정 제재한다는 방침이다.
![]() |
▲ 홈플러스 지점. 사진=홈플러스 |
금융위원회는 14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기업은행과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을 밝혔다.
먼저 정부는 홈플러스 협력업체 대금 지급 동향을 점검하고 은행권이 시행 중인 자체 지원방안이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기업·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은행 등 은행권은 홈플러스 협력업체에 대해 원금 상환 없는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연체 시에도 운전자금으로 대환할 수 있는 특약 대출을 지원한다. 신규 자금이 필요한 협력업체에는 최대 5억원의 긴급자금지원을 통해 유동성 확보를 돕고 있다.
정부는 법원의 회생 절차 진행 과정에서 협력업체 대금 지급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관계부처가 함께 추가적인 대응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지난 13일 홈플러스 회생신청 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의혹을 살피기 위해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들인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을 대상으로 검사에 착수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필요시 홈플러스의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대해서도 검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금감원은 신영증권이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등을 인지하고도 CP(기업어음)와 전단채를 발행한 것인지를 집중 살펴볼 예정이다 앞서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CP, 전자단기사채,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등의 발행을 주관하고, 투자자와 다른 증권사에 이를 판매했다.
홈플러스가 발행한 CP·전단채 규모는 약 2000억원,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 규모는 약 4000억원이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에도 자금조달을 위해 카드사에 납부할 이용대금채권을 기초로 820억 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했는데, 같은날 신용등급이 한 등급 하락하게 될 것 같다는 예비평정을 신용평가사 한 곳에서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검사 과정에서 위법 소지가 발견될 경우 엄정 대응하기로 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