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기에 떠는 지방 건설사들...도미노 붕괴 우려

건설 / 장준형 / 2024-01-16 08:25:08
지방 건설사들 연쇄 부도·법정관리행
지방 분양시장 매수심리 위축 직격탄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자금난으로 부도 처리되거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건설사들이 느는 가운데 특히 지방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시기를 보내는 상황이다. 올해도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가 지방 분양 시장의 경우 더욱 사태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돼 지방 건설사들의 줄도산 공포가 팽배해지고 있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작년 12월에만 건설사 10여 곳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뒤 법원으로부터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새해부터 인천 영동건설을 비롯한 건설사 4곳이 법정관리 신청 후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지방 아파트 건설현장. 사진은 본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포괄적 금지명령은 정식으로 회생 절차를 시작하기 전 당사자의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조치다. 법원 허가 없이 가압류나 채권 회수가 금지되고, 회사도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하지 못한다.

앞서 울산에서는 지난달 12월 세경토건이 부산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데 이어 지난 5일에는 울산 1위 토목·건축업체로 시공평가 179위인 부강종합건설이 법정관리 신청서를 제출했다. 만기가 돌아오는 수십억원 규모의 차입금을 막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 창원에서는 지난달 중견 건설사로 시공 능력 전국 285위, 경남 8위인 남명건설이 최종 부도 처리됐다. 미수금액이 600억원에 달하는 이 회사는 함안 지역주택조합 공사 과정에서 공사비를 회수하지 못한 데 이어 유동성 위기를 겪으며 12억4000만원 상당의 만기어음을 막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광주·전남 중견 건설사인 한국건설은 지난 11일 해당 아파트 분양자들에게 회사 측이 내야 할 중도금 이자 상환을 요구하는 안내 문자를 보내는 등 유동성 위기설이 확산되면서 아파트 분양자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부도난 건설업체(금융결제원이 공시하는 당좌거래정지 건설업체, 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 말소된 업체는 제외)는 총 21곳으로 전년도에 비해 7곳(50%)이 늘었다.

부도업체 수는 12월에만 8곳으로 급증했다. 그중 6곳이 대부분 지방 중견·중소 업체들로 지방 건설업체들의 줄도산 공포가 시작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지방 분양시장은 수요자들의 주택 매수 심리 위축이 더욱 가중될 거란 전망이 나오면서 지방 건설사들의 위기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청약 미달사태가 잇따르며 청약자가 전혀 없는 단지도 나오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경북 울진군의 '후포 라온하이츠'는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청약 접수를 진행했지만 단 한건도 접수되지 않아 60가구가 미분양 물량으로 남았다.

부산 사상구 괘법동 일원에 짓는 '보해 썬시티 리버파크'는 208가구 모집에 17개 청약통장만 접수됐다.

 

지난 10일 청약 접수를 마감한 충북 제천의 신백 선광로즈웰아파트는 209가구 모집에 2명만이 청약을 신청했다.

복수의 지방 건설업체 관계자들은 "지방 건설사들은 유동성 위기에 굉장히 취약하다. 여러사업을 시행하는 대형 건설사들과 다르게 주택사업에만 의존하기 때문이다"라며"예측이 힘든 시장 상황과 고금리, 대출금까지 막히는 이런 삼중고에서 지역 업계 위기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