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30대의 매수 비중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10·15 대책 발표 이전,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나 무주택자를 중심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매수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6796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0대가 매수한 거래는 36.7%로, 약 10건 중 3.7건을 차지했다. 이는 2021년 9월(38.8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 |
| ▲[사진=연합뉴스] |
반면 지난해부터 꾸준히 월 30%를 넘겨왔던 40대의 매수 비중은 8월 26.8%, 9월 27.4%로 두 달 연속 30% 아래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6·27 대출 규제로 인해 1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이 까다로워진 반면, 생애최초·신혼부부·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자금 활용이 가능한 30대 무주택층의 매수세가 강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수도권 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고, 1주택자가 추가로 대출을 받을 경우 6개월 내 기존 주택을 처분해야 하는 등의 규제가 작용한 결과다.
또한 대출 규제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이어가자, “더 늦기 전에 사야 한다”는 심리가 확산되며 30대의 ‘패닉바잉(공황구매)’ 현상도 가세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강서구의 30대 매수 비중이 48.0%로 가장 높았고, 이어 관악구(46.1%), 성동구(45.5%), 은평구(43.0%), 영등포구(42.8%), 서대문구(41.7%), 성북구(41.3%), 동대문구(41.0%), 구로구(40.3%), 중구(40.0%) 순이었다.
이들 지역은 직주근접성이 높고, 비교적 가격이 낮은 아파트가 많으며, 10·15 대책 이전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돼 전세를 낀 ‘갭투자’가 가능했던 곳으로 꼽힌다.
반면 강남구(24.2%), 서초구(25.0%), 송파구(30.0%) 등 강남 3구와 용산구(23.5%) 등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는 30대 매수 비중이 낮았다.
전문가들은 10·15 대책 시행으로 서울 전역과 수도권 일부가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되면서, 정책자금 활용이 가능한 30대 무주택자의 매수 비중이 당분간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본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에 따라 갭투자는 사실상 어려워졌지만, 규제지역에서도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의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최대 70%까지 허용되고, 6억원 한도 내 대출이 가능하다.
노원구 상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10·15 대책 이후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임차인이 있는 매물은 거래가 더뎌지고 있다”며 “다만 시장이 안정되면 15억원 이하, 대출 가능금액 6억원 수준의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젊은층 매수세가 다시 회복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