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윤홍 대표 책임경영 관심 속...GS건설 부동산 PF 위험 우려

건설 / 이동훈 / 2024-06-25 14:52:47
브릿지론 증가로 PF 부실 우려 확산, 차환 압박 심화
GS건설 “우발채무의 경우 현재 악성 없다고 판단”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허윤홍 GS건설 대표가 책임 경영 행보로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권 차환 위험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GS건설은 현재 악성 우발채무는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GS건설은 올해 1분기 매출 3조710억원 영업이익 710억원, 세전이익 1770억원, 신규수주 3조3020억의 경영실적(잠정)을 거뒀다.  

 

▲ GS건설 본사와 허윤홍 대표. [사진=GS건설]


매출은 3조71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5130억원) 대비 12.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710억원으로 전년 동기(1590억원) 대비 55.3%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 23년 4분기 고강도 원가 점검으로 인한 비용 반영 이후 영업이익 세전이익 당기순이익은 모두 흑자 전환했다. 신규수주는 3조3020억원으로 전년동기(2조990억원) 대비 57.3% 증가했다.

GS건설은 881억원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보여준 연간 영업이익 5000억원~7000억원에는 못미치는 실적이지만 인천 검단 아파트의 철근누락 이슈로 지난해 2분기 기록한 영업손실 4138억원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등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허창수 GS그룹 명예회장의 아들 허윤홍 GS건설 미래혁신대표가 최고경영자(CEO)가 되면서 시작된 책임경영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허 대표는 2002년 GS칼텍스 신입사원으로 입사한 후 2005년부터 줄곧 GS건설에서 재무, 경영혁신, 플랜트사업 등 회사의 여러 분야를 경험했다. 특히 GS건설의 신사업 부문에서 많은 공헌을 했다. 그런 만큼 GS건설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는 경영자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허 대표의 노력에도 불구, GS건설 위기감은 가시지 않는 상황이다. ‘보증’의 늪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GS건설의 단독사업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은 정비사업 약 1조6530억원(본PF), 기타사업 약 2조71억원(브릿지론)으로 약 3조 7244억원에 이른다.

특히 부동산 PF 대출에서 가장 위험도가 높은 브릿지론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릿지론은 사업 초기 단계에 일으키는 고금리 단기 대출로 일반적으로 토지매입잔금이나 토지구입 계약금을 치를 때 일으킨다. 보통 시행사들은 브릿지론 대출을 받고 향후 분양 수익이 확보되면 본 PF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브짓지론 대출을 갚게 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신용도가 낮은 시행사들이 2금융권에서 고금리로 대출을 받은 경우가 대다수라 리스크가 크다. 최근 브릿지론에서 본 PF로 전환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연장조차 쉽지 않는 사례가 속출해 PF 부실 우려가 확산되는 추세이다.

GS건설의 올해 분기별로 차환이 필요한 부동산 PF우발채무 규모는 5000억~6000억원 내외로 파악된다.

이에 대해 GS건설은 메가경제에 “이행보증 관련해서는 1분기 말 기준 3.3조원이다. 이 중 1.5조원은 정비사업이며 대부분 서울 사업장으로 리스크가 매우 낮고, 나머지 1.8조원은 도급사업으로 약 5000억원은 올해 본PF 전환 예정이다”고 해명했다. 

GS건설은 또한 “시행사 담보확보 물량을 약 5000억원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향후 착공 물량을 위해 총 1조~2조원 사이의 PF 잔액 범위에서 신규 설정하고 있다. 우발채무의 경우 현재 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며 회사 재무구조에 영향은 없다”고 강조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