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이 돌아왔다" 총수 공백 채운 삼성...투자·M&A 속도 내나

재계 / 이석호 / 2021-08-13 11:49:40
삼성전자, 반도체·스마트폰 주력사업 '흔들'
'사법 리스크' 불씨 여전...경영 행보 제약 우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광복절을 앞둔 13일 오전 가석방됐다.

올해 1월 18일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 파기 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된 지 207일 만이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광복절을 앞두고 13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가석방되어 나오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의왕=연합뉴스]


이 부회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구치소 정문 앞에서 취재진에게 "국민 여러분께 너무 큰 걱정을 끼쳐드렸다. 정말 죄송하다"고 전하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저에 대한 걱정, 비난, 우려, 큰 기대를 잘 듣고 있다"며 "열심히 하겠다"고 짧은 소감을 밝혔다.

이 부회장 출소로 총수 공백을 채운 삼성의 경영 행보도 앞으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경제계에서는 그간 총수 부재 상황에서 과감한 결단이 이뤄지지 못했던 대규모 투자나 인수합병(M&A)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미·중 반도체 패권다툼이 격화되고, 전기차 시대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는 등 글로벌 산업 구조의 지각 변동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그간 멈췄던 삼성의 투자 시계를 다시 빠르게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현금 수십조 원을 거머쥐고 있으면서도 구체적으로 이렇다 할 M&A 움직임이 드러나지 않아 경쟁사 대비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는 비판도 받아 왔다.

가까스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반도체, 스마트폰 등 주력사업의 위기론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가석방을 두고 이 부회장이 국민들로부터 적극적인 경영 활동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받아온 만큼, 이후 과감한 의사결정이 속도감 있게 이뤄질 것이라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광복절을 앞두고 가석방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3일 오전 서울구치소에서 나오며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의왕=연합뉴스]


한편, 이 부회장이 풀려나자 안도했던 재계에서는 향후 경영활동 제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취업제한 규정이나 별도로 진행 중인 재판들이 이 부회장의 경영 행보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특정경제범죄 가중 처벌법상 5년간 취업이 제한되면서 당장 공식적인 경영 복귀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취업 제한을 풀 수 있는 권한이 법무부에 있지만,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고려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선을 긋고 있다.

법무부는 이번 가석방 결정이 경제 활성화를 고려한 취지라고 밝혀왔지만, 정작 이 부회장의 경영 활동에 걸린 제약을 풀어주지 않고 있어 아이러니한 상황이 만들어진 것이다.

'경영권 불법승계 의혹' 사건과 '프로포폴 불법 투약' 혐의도 넘어야 될 산으로 '사법 리스크' 불씨가 여전히 꺼지지 않은 상태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