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중국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중국 수출 회복 연내 어렵다"

경제일반 / 정진성 기자 / 2023-05-10 12:00:28
대한상의 조사 "2~5년 후" 40%, "내년" 27%, "예년 수준 회복 어려워" 17%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대 중국 무역적자가 7개월 연속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부진의 흐름이 올해 안에 반전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대중 수출기업들 사이에서 나왔다. 기업들은 근원적 문제로 중국의 기술자립도 향상에 따른 국산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고 있었다.

 

▲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사진=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대중 수출기업 300개사들의 ‘대중수출 부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10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대중 수출기업의 절반(50.7%)은 ‘올해 들어 대중수출의 위축과 부진을 체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체감 못한다’, ‘체감 못함’ 15.7%, ‘체감 전혀 못함’ 2.3%는 답변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보통’ 31.3%다. 

 

대중 수출회복 시점에 대해선 가장 많은 기업이 ‘2~5년 후에야 회복될 것’(40%)으로 전망했다. 이어 ‘내년에야 회복 가능’(27.3%),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기술향상에 따라 예년 수준으로의 회복은 어려울 것’(17%), ‘중국 리오프닝 효과 가시화로 금년 안에 회복 가능’(15.7%)이라고 답했다. 

 

올해 안에 대중수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본 기업이 전체의 84.3%에 달했다.

 

대한상의는 “대중 수출 부진은 반도체 단가 하락과 중국기업들의 보유 재고량 증대 등 단기적 요인과 함께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던 중간재의 자급률 상승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반도체 가격 상승과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만을 바라고 있기보다는 최근 10년간 보여 온 대중수출의 정체 추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중국의 빠른 기술 성장에 위협감을 느끼고 있었다. 

 

‘기업들이 체감하는 중국 기업과의 기술경쟁력 격차’에 대해 ‘비슷한 수준’(36.6%)이거나 ‘뒤처진다’(3.7%)고 답한 기업이 40.3%에 달했다. 중국보다 앞선다는 응답도 ‘3년 이내’(38.7%)라는 응답이 ‘5년 이내’(15%)와 ‘5년 이상’(6%)을 합한 응답(21%)보다 많았다. 중국과의 기술경쟁력 격차를 유지하거나 벌릴 수 있는 골든타임이 3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향후 5년간 한국과 중국의 기술성장 속도 예상’에 대해서는 많은 기업들이 ‘중국의 성장속도가 한국을 능가하거나(41.3%) 비슷할 것(35%)’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성장속도가 중국을 능가할 것이라는 답변은 23.7%에 그쳤다.

 

기업들은 최근 중국에서 일고 있는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에 대한 우려감도 내비쳤다. ‘궈차오 열풍에 따라 한국제품 및 중간재에 대한 선호도 감소를 체감하는지’에 대해 응답기업 3곳 중 1곳은 ‘그렇다’ 고 답했다. ‘체감 못한다’는 답변은 31%, ‘보통’이라는 답변은 36.3%로 집계됐다.

 

중국을 대체할 수출시장으로 어느 나라가 가장 매력적이냐는 질문에 대해선, ‘아세안’(37.3%), ‘인도’(31.7%), ‘미국’(12.7%), ‘중동’(9%) 등을 차례로 꼽았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미중 갈등 심화와 코로나 봉쇄 경험으로 글로벌 생산거점의 중국이탈이 가속화 되고 있고, 중국의 자급률 제고도 첨단산업과 고부가가치 품목으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무역흑자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단기정책과 더불어 주력제조업의 고도화, 첨단산업분야 기술투자 위험분담 등 수출.산업경쟁력 전반을 쇄신할 수 있는 구조적 대책 마련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