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4인, 2차 TV토론서 재격돌...코로나·청년정책 등 공약 제시

정치 / 류수근 기자 / 2022-02-11 11:09:58
윤석열 '적폐수사' 발언, 대장동 의혹 등 난타전 예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정의당 심상정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4자 TV토론에서 8일만에 재격돌한다.

한국기자협회가 주최하고 방송 6개 사가 주관하는 대선후보 4인의 2차 합동토론회가 11일 오후 8시부터 약 2시간 동안 서울 충무로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다. 방송 6개사가 종합편성채널 4개사(MBN·JTBC·채널A·TV조선)와 보도전문채널(연합뉴스TV·YTN 이상 한글 가나다 순) 2개사이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정의당 심상정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11일 밤 한국기자협회가 주최하는 4자 TV토론에서 8일만에 재격돌한다. 사진은 지난 3일 열린 지상파 방송 3사 공동주최 대선후보토론회 당시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번 2차 4자 토론회는 당초 8일로 추진됐으나 실무협상 과정에서 국민의힘 측의 편향성 반발 및 윤 후보의 건강을 문제로 불발된 뒤 우여곡절 끝에 날짜 조정을 거쳐 재성사된 것이다.

이번 토론은 ▲ 2030 청년 정책 ▲ 자유 주제의 주도권 토론 ▲ 코로나 방역 평가와 피해 대책 ▲ 정책 관련 주도권 토론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후보 4인은 이번 선거의 캐스팅보트로 꼽히는 2030 세대를 위한 저마다의 정책·공약을 제시하면서,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지도자로 자신이 적임자라는 것을 부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윤 후보가 이틀 전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나온 ‘집권 시 전(前) 정권 적폐 청산 수사’ 발언을 놓고도 난타전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기자협회 측은 지난 7일 토론 개최 확정 사실을 전하면서 “토론에서는 각 후보가 정치·경제·사회 분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견해를 밝힐 예정이다. 또한 상호 자유토론을 통해 후보 간 검증도 심층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기자협회는 “회원사들 의견을 모아 후보들의 언론관도 검증할 계획”이라고도 전했다.

이번 두 번째 4자 TV토론은 노동일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선거일을 34일 앞두고 우여곡절 끝에 어렵게 성사됐던 지난 3일의 첫 TV토론은 부동산, 외교·안보, 일자리·성장 분야 등의 주제를 놓고 격돌했다.

대장동 의혹, 문재인 정부의 대중국 기조인 ‘3불(不) 정책’과 대북 선제타격론, 수도권 사드 배치, 신재생에너지, 노동이사제, 탈원전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주고받았다. ‘공적연금 일원화’에 대한 안 후보의 공동선언 제안에 대해 3명의 후보도 호응하는 이례적인 장면도 연출됐다. 다만 유력 후보 부인들을 둘러싼 검증은 피해갔다.

대장동 사건을 둘러싸고 날 선 공방이 오가기도 했지만 공약과 정책을 놓고 비교적 무난한 토론이 전개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으로는 네거티브도 없었지만 변별력도 떨어진 토론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주제와 시간제한으로 인해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과 관련해 심도 있는 토론이나 차별화가 이뤄지지 못한 점도 한계로 지목됐다.

당시 특유의 노련미를 과시한 이 후보는 민생경제를, ‘정치 초보’지만 꽤 준비된 면모를 보인 윤 후보는 대장동 의혹 제기와 함께 정권교체에 방점을 찍었다. 안 후보와 심 후보는 대안 세력의 존재감 부각에 주력했다.

이번 대선은 ‘역대급 비호감’이란 표현이 대표적 수식어로 등장할 정도로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TV토론을 보고 지지 후보를 결정하겠다는 부동층이 30%에 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

중앙선관위 주관의 법정 TV토론이 오는 21일부터 3차례 예정돼 있으나 이것으로는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을 파악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다.

대선을 26일 앞두고 벌어지는 이번 두 번째 4자 토론에서는 각 후보가 주권자들의 마음을 잡기 위해 1차 때와 다른 어떤 전략을 갖고 대응할지 주목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