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국내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에이스랩과 함께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차세대 기술을 개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기술은 클라우드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빅데이터와 AI로 판단해 서비스 운영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 |
▲ LG유플러스 제공 |
이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면 고장 자율주행차량을 긴급 회수하거나 위험 지역에서의 무인주행 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양사는 2019년 3월 세계 최초 5G 통신망을 이용한 도심 주행에 성공했고, 2020년 12월 5G 통신을 통한 최초 자동주차 등 자율주행차량 기술을 개발해왔다.
지난해 6월 서울시 스마트모빌리티 엑스포에서는 자율주행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 변환·압축한 뒤 3.5㎓ 주파수 대역의 5G망을 통해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기술과 실증 사례를 공개했다.
양사는 오는 3분기까지 자율주행차량 이상 진단기술 개발을 마친 뒤 실증사업에 반영할 예정이다.
최창국 LG유플러스 차세대기술랩장(상무)은 "핵심 사업인 스마트모빌리티 사업의 추진력을 얻기 위해 자율주행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올해는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자율주행 실증 사업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