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중견기업 ESG 성적, 환경 주도로 대폭 개선

ESG·지속가능경제 / 정진성 기자 / 2025-04-09 08:58:51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국내 중소·중견기업 2131개사의 2022~2024년 ESG 평가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ESG 경영수준이 2년새 ‘취약’ (2022년 2.0~2.2점)에서 ‘양호’ (2024년 4.6~4.8점) 수준으로 2배 이상 향상됐다고 9일 밝혔다. 

 

▲ 그래픽=대한상공회의소

 

ESG 점수 상향을 주도한 것은 대기오염물질(1.13→6.48), 온실가스(0.7→4.15) 등 환경(E) 분야다. 평가등급은 취약(0~2.99), 양호(3~6.99), 우수(7~10) 등 3개 구간으로 구분해 관리한다. 

 

상의는 지역상공회의소와 연계하여 전국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경영수준을 클릭 ESG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진단 및 현장코칭 방식으로 검증해 오고 있다. 

 

상의가 진단을 시작한 ’22년에는 ESG 관리가 안 되어 잠재적 위험이 높은 취약 등급기업이 절반에 가까운 45.7%에 달했다. 

지난해 조사결과 취약 비중은 32.4%로 13.3%p 크게 줄어들고, 양호 비중은 7.3%p (2022년 50.8% → 2024년 58.1%) 대폭 늘었다. 7점 이상을 받은 우수등급 기업도 6.0%p (2022년 3.5% → 2024년 9.5%) 증가했다.         

 

환경(E)‧사회(S)‧지배구조(G) 등 영역별 평균값을 살펴보면, 환경에서는‘대기오염물질’ 항목의 점수가 ’22년 1.13점에서 ’24년에는 6.48점으로 눈에 띄게 올랐다. 

 

상의 관계자는 “기후변화,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위해성이 심각한 사회이슈로 부각되면서 지자체별로 기업들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감축시설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대기오염물질 감축 협약을 체결하는 등의 활동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부문은‘근로환경’상승폭이 3.74점 (2022년 1.97 → 2024년 5.7)으로 가장 컸다. MZ세대 등장으로 워라밸 등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기업대응도 이에 비례하여 강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2년전 보다 점수가 하락한‘정보보호’는 최근 몇 년간 해킹기법이 정교해지고 다크웹 등이 확산하면서 첨단기술력을 보유한 국내기업이 기술 유출·침해 및 브랜드 위조의 표적이 되었고 실제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총 140건의 사례가 적발된 적이 있었다.

 

지배구조 부문 ‘정보공시’와 ‘감사’항목은 2022년 대비 각각 1.71점 상승했다. 국내 지속가능성공시 법제화가 논의됨에 따라 기존 회계감사 위주에서 경영개선 및 위험관리  중심으로 변화되는 추세가 경영전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진성 기자 정진성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