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불황에 지갑닫은 소비자들…작년 소비, 전년 대비 2.2%↓

숫자경제 / 강한결 / 2019-04-26 13:36:17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지난해 일자리가 부진했던데다 가구원 수까지 감소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돼 가계지출이 전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소득이 더디게나마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는 오히려 뒷걸음질치는 기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경기 부진이 그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을 방증하는 자료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8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구(1인 이상)의 명목 소비지출(월평균)은 253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0.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243만원이고 전년 대비 2.2% 줄었다.


지출 세부 항목을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36만7000원, 음식·숙박 35만원, 교통 34만9000원, 주거·수도·광열 28만6000원, 오락·문화 19만2000원, 보건 19만1000원, 교육 17만3000원 등이다.


오락·문화(9.8%)의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해외여행 수요 증가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018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 [그래픽 = 통계청 제공]
'2018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결과'. [그래픽 = 통계청 제공]

반면 교육 부문(-7.9%) 지출은 감소폭이 제일 컸다. 이는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기 자녀를 둔 가구 비중이 줄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정부의 공교육비 지원 정책으로 교육 지출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득 구간별로 봤을 때, 대부분 가구에서 소비감소 현상이 확인됐다.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는 전년보다 0.9% 소비를 줄였지만, 109만7000원을 썼다. 여전히 소득보다 치출이 많았던 것이다.


특히 주거·수도·광열 지출이 8% 늘었고, 이 가운데서도 월세 등을 나타내는 실제 주거비가 23%나 증가했다. 교통 지출도 10% 늘었다. 주거·교통 지출이 소득하위계층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득 100만~200만원 미만 가구의 지출(156만9000원)도 4.8% 감소했다. 200만~300만원 미만 가구 지출은 204만4000원(-2.3%), 300만~400만원 미만 가구 지출은 252만2000원(-2.2%), 400만~500만원 미만 가구 지출도 291만3000원(-4.8%) 등으로 모두 줄었다.


500만~600만원 미만 가구(+0.4%)를 제외한 소득상위 계층도 소비를 줄였다. 600만~700만원 미만 가구는 1.7% 감소한 374만8000원, 700만원 이상 가구 지출도 2.3% 줄어든 459만5000원이었다.


경기불황의 여파로 소득구간에 구별없이 대체적으로 국민들이 지갑을 닫았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소득 증가가 소비로 이어져 경제가 성장한다'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앞세웠지만,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국민들의 소비가 둔화되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