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이필원 기자] 지난해 체크카드 하루 평균 이용 결제액이 처음으로 5000억원을 돌파했다. 소득공제 등 세제혜택과 각종 부가서비스가 강화되며 이용 건수와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은행은 ‘2018년 지급결제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현금 이외의 지급수단을 통한 결제금액은 일평균 80조6000억원으로 전년(76조8000억원) 대비 4.9% 증가했다. 지급카드(+6.2%) 및 소액결제망의 계좌이체(+8.9%)를 통한 결제금액의 증가세가 이어진 반면 어음?수표(-5.6%) 결제율은 감소했다. 지급카드는 체크카드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지급카드는 신용카드와 겸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은행의 자동출납기(ATM)나 판매점단말기(POS)를 이용할 경우 지급카드가 사용된다.
!['2018년 지급결제동향' 보고서 [출처 = 한국은행]](https://megaeconomy.co.kr/news/data/20190307/p179565871169011_139.png)
체크카드는 이용 실적이 일평균 5000억원으로 7.6% 늘었다. 연말정산시 소득공제율(30%)이 신용카드(15%)의 2배인데다 연회비 무료에 신용카드와 유사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이용실적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체크카드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결제 실적에서 우위를 점한 것은 신용카드(78.7%)다. 지난해 신용카드 하루 평균 이용실적은 1조8620억원으로 전년보다 5.8% 늘어났다. 개인의 이용실적은 8.6% 늘었지만 법인은 2.9% 줄어들었다.
지난해 하루 평균 결제건수는 신용카드 3575만건, 체크카드 2232만건으로 전년보다 각각 10.5%와 10.9% 증가했다.
지급카드의 일평균 결제 건수는 증가했지만, 건당 결제금액은 줄어들었다. 최근 대부분의 업장에서 카드 소액결제가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건당 결제금액은 신용카드 4만3089원, 체크카드 2만2471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9%와 3.0% 감소했다.
카드사용 비율이 증가하면서 현금 사용률은 줄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는 지난해 4월 업계 최초로 현금 없는 매장을 운영했다. 현금 결제 비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고, 카드와 모바일 결제 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 코리아 측에 따르면 국내 스타벅스 매장에서 현금결제 비중은 2010년 31%에서 2017년 7%까지 줄었다. 신용카드 등 다른 결제수단의 비중은 지난해 80%까지 증가했다. 현재 스타벅스는 총 403곳의 현금없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