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이필원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금융당국의 금융지주 지배구조 개선에 대해 민간 금융권이 반발하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누가 반발하냐, 만약 있다면 그건 한두명 개인의 반발"이라고 일축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송년 간담회에서 '금융지주 지배구조 개선 작업에 대해 금융권이 반발하고 있다'는 언급에 "그 반발이 얼마나 광범위한 반발이냐"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금융회사 CEO 선임문제 등과 관련해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지 어느 한 개인의 진퇴를 염두에 두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했다"며 "그런데 지금 어느 한 개인의 진퇴로 얘기가 되고 있다"고 하나금융지주의 반발을 겨냥했다.
최 위원장은 "이것이 과연 언론 보도과정을 통해 왜곡된 것인지, 아니면 시장에서 그렇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도가 되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금융권이 광범위하게 반발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최근 언론보도를 보면서 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가장 실질적인 요인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을 요새 좀 해보고 있다"며 '관치'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우회적으로 불만을 털어놓기도 했다.
최근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의 신규사업 인허가가 지연되는 것을 두고 지배구조 문제 때문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서는 "어제 하나USB자산운용에 대해 대주주 변경승인이 보류되면서 그 질문이 나온 것 같은데, 이 건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심사를 중단하게 될 요인이 생겼기 때문에 중단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최 위원장은 "지배구조법 시행령에는 대주주 변경승인을 심사할 때 검찰수사 등이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심사를 중단할 수 있게 규정을 하고 있다"며 "금융감독원이 하나UBS의 대주주변경 승인심사, 변경 승인을 심사하던 중에 신청인의 최대주주와 관련해서 검찰이 수사 중임을 공식 확인했다. 그래서 금감원의 신청에 따라서 금융위의 의결로 심사가 중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내용이 어제 갑자기 결정된 게 아니라 쭉 심사를 진행해 오는 과정에서 그쪽에도 충분히 전달된 것으로 알고 있다. 아마 시기적으로 봐도 그런 오해의 소지는 전혀 없다"며 "이 건은 CEO 연임, 선임 문제와 전혀 관련이 없다. 사안이 해소되면 또 당연히 심사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KB증권의 초대형 IB 단기금융업 인가가 불발된 데 대해서도 "KB증권으로 합병되기 전 현대증권에서 있었던 어떤 일이 제재를 받은 사유로 인해 심사가 중단된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며 "(CEO 연임 문제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