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김민성 기자] 현대ㆍ기아차에 품질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의 난국을 타개해나갈 희망을 찾을 수 있는 낭보가 전해졌다. 현대ㆍ기아자동차가 중국 신차 품질조사에서 1, 2위를 모두 석권하며 품질 경쟁력을 입증한 것이다.
현대ㆍ기아차는 28일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가 발표한 '2017 중국 신차품질조사(IQS)'에서 전체 43개 일반 브랜드 가운데 현대차가 1위, 기아차가 2위를 나란히 석권했다고 밝혔다.
지난 20일 중국질량협회가 '2017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현대ㆍ기아차 8개 차종 1위 수상, 현대차 정비만족도 1위 달성에 이은 낭보다.
이번 제이디파워의 신차품질조사는 중국 주요 67개 도시에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판매된 68개 브랜드, 251개 차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구입 후 2~6개월 내의 고객들에게 신차품질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100대당 불만건수로 집계한 것인데 점수가 낮을수록 고객의 품질 만족도가 높은 것을 뜻한다.
현대차는 86점으로 1위를 차지, 사상 최초로 일반 브랜드 부문 톱에 올랐던 2015년에 이어 2년 만에 정상을 되찾았다. 기아차도 88점으로 지난해 4위에서 두 계단 뛰어오르며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13개 차급별 평가에서도 현대차의 루이나(소형차 1위), 랑동(중형차 1위), 투싼(컴팩트 SUV 1위)과 기아차의 K5 등 모두 4개 차종이 각각 ‘최우수 품질상’의 영예를 안았다. 모두 3개 차종이 1위에 오른 현대차는 43개 브랜드 중 최다 1위 차종을 배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현대·기아차 측은 "최근 중국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신차품질조사에서 최상위권의 성적을 달성한 것은 의미가 매우 크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끊임없는 품질 향상 활동을 통해 중국 고객들에게 더욱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드 보복’으로 이마트, 롯데마트 등 국내 업체들이 중국에서 철수하고 있는 가운데 대륙의 고객들도 잇따라 인정한 현대ㆍ기아차의 품질 경쟁력은 시련이 겹치는 중국 시장에서 꿋꿋이 버텨낼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ㆍ기아차의 중국내 판매는 실로 크다. 중국 사드 보복 여파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중국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39% 줄어든 7만6010대에 그쳤다.
현대차가 5만3008대로 지난해 8월 8만2025대보다 35.4% 감소했고, 기아차도 같은 기간 4만2091대에서 2만3002대로 45.4%나 급감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현대·기아차의 중국 누적 판매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7% 감소해 충격이 컸다.
현대ㆍ기아차의 중국 현지 시설의 총 생산능력은 265만대에 달하지만 현재와 같은 판매 부진 추세라면 올해 판매량은 130만대를 밑돌아 생산능력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우려도 업계에서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현대차 납품업체들의 공급 중단으로 중국 현지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반복되고 있는데 중국 현지 언론의 악의적인 타깃 보도까지 이어지면서 현대ㆍ기아차의 위기감은 더욱 높아져왔다.
그러나 지난 25일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17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도 현대차는 35위, 기아차는 60위로 오르며 브랜드 가치를 높게 인정받았다.
2005년 100대 브랜드에 처음 이름을 올린 현대차는 2015년 39위에 이어 지난해와 올해 연속 35위에 올라 3년째 톱30을 유지했다. 2005년 35억 달러였던 브랜드 가치도 3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약진을 보였다. 66억8100만 달러의 브랜드 가치를 평가받은 기아차도 ‘디자인 경영’을 처음 선포한 2006년의 9억 달러의 브랜드 가치를 7배까지 끌어올리며 2년 연속 69위를 지켰다.
이렇듯 현대ㆍ기아차가 높은 품질 경쟁력과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앞세워 난국을 버텨낸다면 한중 정세 변화에 따라 반전의 모멘텀을 찾게 될 시기가 앞당겨질 수도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