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조철민 기자] 갤럭시노트7 배터리 폭발 사태의 파문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벌여야 하는 판의 크기가 점점 커져가는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이다. 갤노트7 사용중지에 이어 전 매장의 갤노트7에 대한 전원 차단 지시까지 내려졌다.
전량 리콜과 새로운 제품 교환을 약속한 삼성전자가 지난 10일 밤에는 스마트폰 판매장에 전시된 모든 갤럭시노트7의 전원을 차단하라는 내용이 담긴 긴급 공지문을 띄웠다. 공지문에는 이동통신사별 체험매장에 전시돼 있는 갤노트7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라는 것이었다.
연결된 전원을 뽑고 단말기를 끄라는 것 외에 사용하던 배터리는 더 이상 충전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방전시켜 버리라는 것이었다. 안내문에는 반드시 당일 중 전원을 차단하라는 내용도 포함돼 있었다.
업계에서는 밤 시각에 갑작스레 공지문이 띄워지자 무언가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는 것 아닌가 하는 관측들이 나왔다.
앞서 삼성전자는 미국 소비자에 이어 한국 소비자들에게도 갤럭시노트7의 사용 중지를 권고했다. 갤노트7 사용중지는 처음엔 미국 소비자안전위원회(CPSC)의 권고로 미국에서 먼저 결정됐다. 그러자 삼성전자는 곧바로 같은 조치를 국내 사용자들에게도 자발적으로 취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갤노트7 사용중지 조치를 발표하면서 모든 해당 제품 사용자들은 삼성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제품을 반납하고 대신 교환하는데 걸리는 기간 동안 대여폰을 사용하라고 권고했다. 소비자들이 대여폰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은 12~18일이며, 사용 마감시한은 오는 30일이다. 삼성전자는 19일부터 갤노트7 신제품을 교환해주기 시작한다.
타 대리점에서 갤럭시노트7을 구입한 사람도 삼성 서비스센터로 안내돼 똑같은 서비스를 받게 된다. 온라인으로 갤노트7을 구입한 사람들 역시 삼성 서비스센터를 방문하면 된다.
삼성전자 측의 전면적이고도 발빠른 조치가 이어지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우선 새 제품을 교환받기 위해 두 세 차례 대리점이나 서비스센터를 찾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손에 익지 않은 대여폰을 한동안 써야 하는 것도 고역스럽다.
대리점들 역시 갤노트7 사용중지에 따른 교환 과정 상의 경제적 손실을 제대로 보상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