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역대 최저인 0.7%를 기록했다. 31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동향' 발표를 통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1년 4.0% 수준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2.2%, 2013년 1.3%, 2014년 1.3%로 하향곡선을 그리다 0% 대로 떨어졌다. 물가상승률이 0%대를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9년(0.8%) 이후 두번째다.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변동 효과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2% 상승했다.
지출빈도가 높은 142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2% 하락했다.
올해 저물가현상은 지난해 말부터 지속된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전셋값 상승의 영향으로 서비스가격이 1.8% 올랐지만 석유류 가격이 19.0%나 내리면서 상품가격은 오히려 0.7% 하락했다.
공업제품가격은 0.2% 하락했다. 담뱃값 인상의 영향으로 국산담배는 83.7%, 수입담배는 67.5%씩 가격이 올랐다. 가방(+15.0%), 남자정장(+5.1%) 등도 가격이 상승했다. 하지만 저유가로 인한 하방요인이 더 컸다. 휘발유(-17.3%), 경유(-20.5%), LPG(자동차용 -23.4%), 등유(-26.2%) 등의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저유가의 영향을 받아 전기·수도·가스 가격도 7.4% 하락했다. 도시가스료(-15.8%), 전기료(-1.7%), 지역난방비(-0.1%) 등이 하락했고 상수도료는 2.0% 올랐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2.0% 상승했다. 양파(+33.9%), 마늘(+23.3%), 시금치(+20.6%), 쇠고기(국산 +7.3%), 돼지고기(+3.7%) 등의 가격이 올랐다. 포도(-13.1%), 귤(-11.4%), 복숭아(-15.2%), 감(-14.5%), 수박(11.5%), 배(-6.9%) 등 과일류 가격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서비스가격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친 요인은 집세였다. 전세가격이 3.6%, 월세가격이 0.3%씩 올랐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