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스바겐이 미 환경당국의 폭스바겐 리콜 명령으로 자칫 풍비박산이 날 지경에 처했다.
미국으로 팔려간 48만여대의 폭스바겐 차량에 대해 리콜 조치를 취하라고, 미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리콜 명령을 내린데 따른 것이다.
폭스바겐 리콜 명령의 이유는 배기가스 저감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 |
미 환경 당국은 이번에 폭스바겐 리콜 명령을 받은 문제의 차량들이 평소 주행시 배기가스 저감 시스템을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진 사실을 지적했다.해당 시스템이 자동차 검사 때만 작동하도록 의도적으로 그렇게 만들어졌다는 의혹도 함께 제기됐다.
이로 인해 폭스바겐은 폭스바겐 리콜로 인한 직접 피해 외에 도덕적으로 큰 상처를 입게 됐다.
미국의 이번 폭스바겐 리콜은 그동안 심심찮게 보아온 억지스러운 비관세 장벽쌓기 차원은 아닌 것으로 평가된다. 자동차 생산국들이 자국 회사들을 보호하기 위해 외국산 자동차에 가해온 각종 제재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는 의미다.
자동차와 관련된 비관세 장벽 쌓기의 일례로 일본은 과거 미국 자동차 제조회사들에게 우측 핸들 차량의 생산을 요구한 바 있다. 일본 자동차 운행 관습을 이유로 사실상 비관세 장벽을 쌓은 사례로 입에 회자되는 사례다.
하지만 환경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워 내려진 미국의 이번 폭스바겐 리콜 명령은 그 여파가 다른 나라로까지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