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김민성 기자] 롯데그룹 지배구조를 공개하라는 당국의 압력이 본격화하고 있다. 롯데그룹의 실체 공개를 유도하려는 압박은 전방위로 가해지고 있다. 우선은 그 최일선에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있다.
이들 기관이 롯데그룹의 지분구조와 관련된 각종 자료의 공개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정치권도 이 참에 롯데그룹의 지분구조에 얽힌 문제점을 바로잡아야 한다며 힘을 보태고 있다. 이같은 압박은 이번 '형제의 난'을 계기로 롯데그룹 등 재벌이 안고 있는 지분구조의 문제점을 제도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여론에 따른 것이다.
![]() |
롯데그룹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몇몇 오너 일가가 쥐꼬리 지분을 가지고 거대한 기업군을 손가락 하나로 좌지우지해 왔음을 스스로 드러냈다. 이번 '형제의 난'이 발생한 배경엔 롯데그룹이 안고 있는 구조적 취약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현재까지 드러난 바 롯데그룹은 총수 일가가 불과 2.4%가 조금 넘는 지분을 바탕으로 81개 계열사를 거느리는 비정상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큰 틀에서 보자면 이같은 기형은 한국 재벌들이 지닌 공통의 모습이긴 하지만 롯데그룹의 경우 특히 기형의 정도가 심하다는게 당국의 시각인 듯하다.
일례로 롯데그룹은 계열사간 순환출자 고리가 416개나 될 만큼 비정상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국내 대기업군인 삼성이나 현대자동차가 각각 10개 이하의 순환출자 고리를 지니고 있는 것에 비해 봐도 그 정도가 지나치다 할 수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롯데그룹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롯데홀딩스의 지분구조가 공개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롯데홀딩스를 좌지우지하는 광윤사 역시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롯데그룹를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일본롯데 계열사 지분 현황 자료를 오는 20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롯데그룹이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신격호 총괄회장을 수사기관에 고발하겠다는 엄포도 곁들였다.
금융감독원도 가세하고 나섰다. 금감원은 6일 사실상 한국롯데를 지배하고 있는 호텔롯데를 비롯해 롯데물산, 롯데알미늄, 롯데로지스틱스 등 4개 롯데그룹 계열사의 공시규정 위반을 거론하면서 최대주주 현황 정보를 추가로 공시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롯데그룹 계열사가 최대 주주인 롯데홀딩스의 대표자가 누구인지 기재하지 않는 등 공시규정을 위반했다는게 그 이유다.
그러나 롯데그룹이 공정위와 금감원의 요구에 순순히 응할지는 미지수다. 요구에 불응하더라도 고작 벌금이나 과징금을 무는 정도로 끝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롯데그룹의 실질적 사업기반인 한국에서 반롯데 정서가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롯데그룹이 당국의 요구에 응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은 정치권대로 롯데그룹의 순환출자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신규 순환출자 뿐 아니라 기존의 순환출자까지 금지시키는 강력한 법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대기업군의 경영에도 타격을 가할 수 있어 현실화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전망된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