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대장동 악재에도 불구하고 부·울·경 지역 순회경선에서도 과반득표 행진을 이어가며 ‘대세론’을 더욱 공고히하는 양상이다.
이 지사는 2일 오후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부산·울산·경남 경선에서 55.34%의 득표율을 기록, 전날 제주(56.75%)에 이어 이틀연속에다 지난달 26일 전북 지역부터 최근 3연승을 달렸다.
2위인 이 전 대표(33.62%)와는 21.72%나 앞섰다. 이어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9.74%), 박용진 의원(1.30%) 순이었다.
![]() |
▲ 제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자 선출을 위한 부산·울산·경남 순회경선 결과. [더불어민주당 제공] |
득표수는 이 지사 1만9698표, 이 전 대표 1만1969표, 추 전 장관 3468표, 박 의원 461표 순이었다. 부·울·경 전체 선거인단수 6만2098명 중 3만5832명이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은 57.70%였다.
이 지사는 지난달 4일 대전·충남을 시작으로 막이 오른 이번 대선 후보 지역 경선에서 이날까지 8곳의 지역 중 7곳에서 과반 득표에 성공했다. 이 지사는 근소한 차이로 이 전 대표에게 1위를 내줬던 광주·전남(9월25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과반을 넘는 압승을 거뒀다.
이 지사는 부·울·경의 권리당원 투표에서 55.16%(1만8678표), 전국대의원 투표에서 58.96%(1013표)를 획득했고 유선전화 신청 투표에서는 총 19표 중 7표를 받았다.
이 전 대표는 권리당원 투표에서 33.64%(1만1389표), 전국대의원 투표에서 33.24%(571표)를 얻었고, 유선전화 신청 투표에서 9표를 받았다.
이로써 이 지사는 누적 득표율에서도 53.51%(36만5500표)로 2위인 이 전 대표(34.67%·23만6804표)와의 격차를 더 벌리며 과반 득표율을 이어갔다.
![]() |
▲ 제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순회경선 누적 결과. [더불어민주당 제공] |
이 전 대표와의 누적 득표수 차이는 12만8696표로 약 13만표에 가까워졌다. 그만큼 이 지사가 결선 없이 본선에 직행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3위인 추미애 전 장관은 10.58%(7만2285표), 4위인 박 의원은 1.24%(8476표)를 기록했다.
![]() |
▲ 2일 오후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부산·울산·경남 합동연설회에서 후보자들이 주먹을 쥐어 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이낙연, 박용진, 추미애 후보. [부산=연합뉴스] |
이 지사는 부·울·경 결과가 발표된 뒤 “예상을 뛰어넘는 지지를 보내준 국민과 당원동지께 감사드린다”며 “최선을 다하고 겸허하게 결과를 기다리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저에게 지지를 보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남은 일정도 여전히 흔들림 없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민주당은 3일엔 수도권의 인천으로 무대를 옮겨 순회경선을 이어간다. 특히 인천에서는 이 지역 경선 결과와 함께 49만여명에 이르는 2차 국민·일반당원 투표(2차 슈퍼위크) 결과도 발표된다.
이에 따라 이날 인천과 2차 슈퍼위크 결과 여하에 따라서는 이 지사가 사실상 본선 직행 결판이 미리 낼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지난달 12일 강원 경선 결과와 함께 발표됐던 1차 슈퍼위크에서는 이 지사가 51.09%(25만3762표), 이 전 대표가 31.45%(15만6203표)를 얻었었다.
인천까지 끝나면 민주당 대선 순회경선은 9일 경기에 이어 10일 서울에서의 마지막 경선만 남겨놓게 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