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이재현, ‘K-브랜드’로 세계시장서 승부...컬쳐·플랫폼에 5년간 20조 투자

K-브랜드지수 / 이석호 / 2022-05-30 16:50:02
컬처 분야에 절반 이상인 12조 투입...2만 5천명 이상 신규 채용

CJ그룹이 세계시장에서 ‘K-브랜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 이재현 CJ그룹 회장


CJ는 콘텐츠와 식품 등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할 사업 분야에 향후 5년간 20조 원을 투자한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CJ는 지난해 11월 그룹의 중기비전을 발표하면서 컬처(Culture)·플랫폼(Platform)·웰니스(Wellness)·서스테이너빌러티(Sustainability) 분야를 ‘4대 성장엔진’으로 정한 바 있다.

이번 투자 계획에서는 전체 20조 원 가운데 절반 이상인 약 12조 원이 콘텐츠와 K-푸드 중심 식문화 확산 등 컬처 분야에 투자된다.

특히 칸영화제에서 지난 2019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 박찬욱 감독과 배우 송강호가 각각 자신의 작품으로 감독상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면서 CJ가 투자·배급한 영화가 세계 무대에서 우뚝 서게 됐다.

CJ는 향후 투자를 통해 세계시장을 겨냥한 ‘웰메이드 콘텐츠’ 제작 및 제작 역량을 확보하고, 미래형 식품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그룹 관계자는 “CJ는 산업 기반이 미미하던 1990년대 중반부터 25년 넘게 영화, 드라마 등 문화 사업에 꾸준히 투자해 문화산업이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하는 길을 열고 이를 주도해왔다”며 “앞으로도 공격적인 투자로 소프트파워 분야에서 K-브랜드 위상 강화의 주인공이 되겠다”고 전했다.

▲ CJ더센터 전경 [CJ 제공]


또 물류·커머스 등 플랫폼 분야에도 급격한 시장 성장에 따른 인프라 확대 등에 총 7조 원을 투입한다.

국내 1위 물류기업인 CJ대한통운은 이커머스 최적화 인프라·시스템 강화 등 경쟁력 확보에, K-뷰티 플랫폼 CJ올리브영은 IT 기술을 적용한 마케팅·서비스 고도화 및 글로벌 매출 비중 확대에 각각 나선다.

웰니스와 서스테이너빌러티 분야에서도 바닷물에서 자연분해되는 플라스틱 소재(PHA) 제품의 생산시설 확대 등 미래형 신소재 투자에 1조 원 이상을 집행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시설(CDMO)과 천연 프리미엄 소재 고도화도 추진한다.

CJ는 이번 투자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오는 2026년까지 매년 50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CJ 관계자는 “향후 5년간 최소 2만 5000명에서 3만 명에 육박하는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CJ는 ‘인재제일’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주 4.5일제 근무와 우수성과에 대한 파격 보상, 제주도 거점오피스(CJ ENM) 운영 등 제도를 통해 최고 인재 확보에 힘쓰고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