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편집국] 2024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자기소개서 폐지, 생활기록부 평가항목 축소(자율동아리, 대회, 독서활동, 봉사활동)가 예고된 상황이다.
또한 고교학점제 실시와 더불어, 성취평가제 도입이라는 교육제도의 변화가 예고된 상황속에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강점을 가지는 특목고 및 자사고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님의 관심이 늘고 있다.
이에 서울 주요대학 및 의학계열 학생부종합전형 수많은 합격생을 배출하고 있는 특목고가 일반고와 달리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살펴보려고 한다.
![]()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강점을 가지는 특목고 및 자사고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님의 관심이 늘고 있다. |
특징1. 재학생들의 높은 학업역량
대학입장에서는 뛰어난 학업역량을 지닌 학생 선발이 목적인 만큼, 더 나은 구성원이 모인 집단에 속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한다. 현재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자료는 바로 교과 성적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단순히 등급에 대한 평가에 그치지 않고, 표준편차, 평균 등의 항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평가한다. 특히 표준편차의 경우 일반고는 과목별로 20 내외로 수치가 나오는 반면, 특목고 및 자사고는 5~15 사이의 표준편차를 보여준다. 특히 서울대 합격자 상위 학교표준편차와 성취도 결과는 왜 대학들이 특목고와 자사고 학생들을 선발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 |
▲서울대 합격자 상위 학교주요과목 표준편차 평균값 분석 |
특징2. 전문교과 운영을 통한 차별화 전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서류평가는 블라인드로 진행되고 있다. 각 대학 입학사정관은 입학설명회를 통해 블라인드 평가로 인해 학생을 온전히 평가하기 어렵다고 토로한다. 특목고 및 자사고는 이미 고교학점제에 동일한 다양한 전문교과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 평가자들은 블라인드 평가임에도 특목고 및 자사고 여부를 충분히 유추 가능하다. 일반고 학생의 경우 과목 이수의 위계성을 위해 전문교과 수강을 희망해도,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일반고 학생은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전문 교과를 들을 수 있지만, 수강인원의 제한 등 여러가지 환경적인 제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특목고 및 자사고 재학 중인 학생은 학교에 개설된 매우 다양한 교과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교과선택 측면에서의 차이는 대학입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특목고 및 자사고가 고교학점제 도입이후에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
▲특목고 및 자사고가 고교학점제 도입이후에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 |
▲일반고 학생의 경우 과목 이수의 위계성을 위해 전문교과 수강을 희망해도,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
특징3. 자율/진로 활동 특색프로그램 운영
앞서 설명한 교과편제 상황 못지 않게 특목고와 일반고가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바로 자율 및 진로활동이다. 일반고도 자율 및 진로 활동에서 특색프로그램을 운영하지만 단기간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해 특목고 및 자사고는 1개월~3개월 이상 준비 및 활동시간이 주어지며, 논문 수준의 활동이 주를 이룬다. 이는 실제로 앞서 설명한 재학생들의 학업역량, 전문교과 운영(수행평가)과 합해져, 학생부종합전형에서의 압도적인 입시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 |
▲교과편제 상황 못지 않게 특목고와 일반고가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바로 자율 및 진로활동이다. |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제는 특목고 및 자사고 인기 상승의 기폭제 역할’
과거 문재인정권에서는 고교서열화를 없애기 위해 과학고 및 영재고를 제외한 특목고 및 자사고 일반고 전환을 추진했지만, 현 윤석열정권에서는 특목고 및 자사고 존치를 결정했다. 이는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제 실시와 맞물려, 특목고와 자사고의 지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작년 자사고 및 특목고의 경쟁률이 소폭상승한 것 역시 이러한 기대치를 반영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고교학점제 도입이 되더라도, 일반고 여견 상 고교학점제 운영이 파행을 겪을 수도 있는데 우려 섞인 시선이 존재하다는 점을 돌이켜 볼 때, 특목고 및 자사고의 인기는 지속될 것이다.
2025학년도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앞서 말한 특목고의 장점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육부와 대학들의 전형 구성에 영향을 받는 만큼, 향후 교육부 및 대학별 입시전형 계획 발표를 유의깊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