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C형간염, '4년 주기 선별검사'가 가장 경제적

건강·의학 / 주영래 기자 / 2025-07-03 15:41:51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국내 C형간염 예방과 관리를 위한 최적의 국가 전략으로 ‘4년 주기 선별검사’가 가장 경제적인 방안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최근 기모란 교수(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연구팀이 수행한 C형간염 선별검사 도입의 경제성 평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연령대별 감염 특성과 치료 효과, 질병 진행 양상을 고려해 국가 차원의 선별검사 전략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

C형간염은 초기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감염자의 70~80%가 만성화된다. 장기적으로는 간경변과 간암 등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국내 간암 환자의 약 10%가 C형간염을 원인으로 갖고 있다. 특히 간암은 50대 남성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할 만큼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이다.

연구팀은 WHO의 C형간염 퇴치 목표인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5명 이하, ▲사망률 2명 이하 달성을 위한 선별검사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했다. 분석에는 30~79세 한국인을 기준으로 한 가상 코호트를 적용하고, 20년간의 질병 진행과 전파를 반영한 동적 전파 모델을 사용했다.

그 결과, 가장 빠르게 목표를 달성하는 전략은 ‘2년 주기 선별검사’(검진율·치료율 각 90%)였으나,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는 ‘4년 주기 선별검사’(검진율·치료율 각 80%)가 가장 우수했다. 해당 전략은 도입 17년 후 발생률 목표, 18년 후 사망률 목표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지표에서도 4년 주기 전략의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는 8,867달러, 편익비용비(BCR)는 1.60으로 나타나, 비용 대비 편익이 크고 건강 효과도 확실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모란 교수는 “이번 연구는 C형간염 퇴치를 위한 선별검사의 당위성과 경제적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며, “특히 4년 주기 전략은 비용 효율성과 정책 실현 가능성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점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의 C형간염 유병률은 약 0.6~0.8%로, 고령층일수록 유병률이 높다. 그러나 자발적 검진에 의존할 경우, 20년 뒤 사망률이 현재보다 3배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2025년부터 만 56세를 대상으로 한 일반 건강검진에 C형간염 선별검사를 포함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한국은 이미 국가건강검진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 보다 포괄적인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검사 확대가 가능하다”며, “WHO의 2030년 퇴치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의 공익적 암 연구사업과 질병관리청의 만성감염병 코호트 연구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2025년 3월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fection and Public Health에 게재됐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