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동 공개제안해달라’는 요청도 수락...결렬 이유 알 수 없어"
"지금이라도 안 후보가 시간·장소 정해주면 직접 찾아뵐 것"
안 후보 제안 여론조사 방식 "논의 협상 테이블에 오른 적 없어"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대선일을 10일 앞둔 27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와 관련해 “안타깝게도 오늘 아침 9시, 단일화 결렬 통보를 최종적으로 받았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간 양측의 단일화 협상 경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저는 오늘 이 시간까지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위해 진실한 마음으로 최선 다해왔다”며 “또한 우리 당 의원들과 전권을 부여받은 양쪽의 대리인들이 만나 진지한 단일화 협상을 이어왔다”고 전했다.
![]() |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연합뉴스] |
윤 후보는 “특히 어제는 양측의 전권 대리인들이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회동을 했고, 최종 합의를 이뤄서, 저와 안 후보에게 보고가 됐다”며 “저와 안 후보와의 회동 일정 조율만 남은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어 “(어재) 다시 저녁에, 그동안 완주 의사를 표명해온 안 후보께서 완주 철회를 위한 명분을 조금 더 제공해달라는 요청이 있으셨고, 그래서 저는 안 후보의 자택을 방문해서 정중한 그런 태도를 보여드리겠다고 전달을 했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그러나 거기에 대한 답은 듣지 못했고 그 후 안 후보께서 목포로 출발하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윤 후보는 이후에도 양쪽의 전권 대리인들은 이날 새벽 0시 40분부터 새벽 4시까지 양 후보의 회동 일정과 방식에 관해 협의를 진행했다며 “안철수 후보 측으로부터는 제가 오늘 오전에 기자회견을 열어서 안 후보에게 회동을 공개 제안해달라는 요청을 하셨고 저는 이를 수락했다”고 밝혔다.
그래서 “양측 전권 대리인들이 오늘 아침 7시까지 회동 여부를 포함한 시간과 장소를 결정해서 통보해주기로 협의를 했지만 안타깝게도 오늘 아침 9시, 단일화 결렬 통보를 최종적으로 받았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그러면서 “제가 지금까지 단일화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제가 이것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단일화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고, 후보 단일화를 간절히 바랐기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제는 정권교체를 위한 단일화를 열망해오신 국민들께 그간의 경과를 말씀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투표용지 인쇄(28일)를 하루 앞둔 시점까지 단일화 논의에 진전이 없자, 직접 그간의 경과를 설명하며 지지층에게 이해를 구하며 결집을 기하기 위해 회견을 연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윤 후보는 마지막으로 “지금이라도 안 후보께서 시간과 장소를 정해주시다면 제가 지방에 가는 중이라도 언제든지 차를 돌려 직접 찾아뵙고 안 후보와 흉금을 터놓고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며 “안 후보의 화답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의 열망인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통합에 저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막판 단일화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다.
윤 후보는 양측 단일화 협상이 결렬 배경에 대해선 “저희도 이유를 알 수가 없다”며 “그쪽에서도 답이 오기를 ‘이유를 모르겠다, 특별한 이유는 없는 것 같다’는 답변을 받았을 뿐”이라고 밝혔다.
양측 전권 대리인은 윤 후보측 장제원 의원, 안 후보측 이태규 의원이었다고 윤 후보는 전했다.
안 후보가 애초 제안한 국민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에 대한 경과를 묻는 질문에도 답했다.
윤 후보는 “2월 13일 안 후보가 제안하기 전날 장제원 의원이 이태규 본부장으로부터 ‘내일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 방식을 제한할 텐데 그건 협상의 시작이지 끝이 아니다. 얼마든지 협상을 할 수 있다’고 들었다. 다음날 제안을 했을 때도 다른 협의를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봤다”며 “전권 대리인들 사이에 단일화 협의를 해 나가는 과정에서 여론조사 논의는 한 번도 나온 적이 없고,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논의도 전혀 협상 테이블에 오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