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사, 금융당국 부동산 PF 지원 요구에 '갑분싸'

금융·보험 / 송현섭 / 2024-04-22 16:49:56
신규자금 지원 요청에 부정적 반응
저축은행, 손실반영 위기국면 진입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금융당국에서 4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설이 대두되자 은행과 보험사들에 대해 정상화를 위한 신규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으나 냉랭한 분위기만 감돌고 있다.


22일 금융권과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주요 시중은행과 보험업계 임원들과 간담회를 잇달아 개최하면서 최대 과제인 부동산 PF 사업장 신규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금융당국에서 4월 위기설이 대두되자 은행과 보험사들에 대해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한 신규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으나 냉랭한 분위기만 감돌고 있다. 부동산 PF 관련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은 또 이들 금융사의 적극적인 PF 지원을 유도키 위해 인센티브 제공을 거론하고 있으나 정작 은행과 보험사의 반응이 시원치 않다는 것이 상당수 금융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우선 은행들은 2조원대 2차 상생금융에다 올 1분기 H-지수 ELS 손해배상을 털고 가야 하는 부담이 가중되는 마당에 부동산 PF 사업장에 신규자금을 지원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알려졌다.

통상 PF 사업자금 지원은 착공단계까지 은행·보험사들이 맡기는 하지만 사업을 위한 토지만 구입한 채 시작하는 초기 단계 사업장의 경우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사들이 주로 담당해왔다.

따라서 일단 브릿지론 위주로 초기 사업을 지원한 저축은행·상호금융사는 정상화가 어려운 사업장을 공경매 처리를 진행하면서도 100% 손실추정액까지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상황이라 실적에 비상등이 켜졌다.

더 큰 문제는 금융당국이 은행과 보험사에 토지만 구입한 극초기 PF 사업장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신규자금 지원을 요청하면서 불거졌다. 앞서 당국과 보험업계와의 간담회에서는 만약 손실이 발생한다면 제재대상에서 제외해줘야 할 것이라는 업계 입장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에서는 우리·하나·NH농협 등 3곳이 작년부터 적게는 1000억원에서 2000억원까지 자체 조성한 펀드로 사업장 재구조를 지원하고 있다. KB·신한금융의 경우 캠코 정상화 펀드에 계열 자산운용사를 통해 이미 10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들은 통상 본 PF에만 자금을 지원해왔다”면서 “이미 상생금융과 H-지수 ELS 손실배상 부담이 겹친 데다가 상당한 자금을 투입해 초기 단계 브릿지론과 본 PF 대부분을 지원하고 있어 추가로 자금을 지원할 여력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PF 자금지원을 위해 인센티브로 부동산 PF 관련 위험가중치를 조정하거나 충당금 적립 부담의 완화 및 여신부문 면책조항 등을 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거론되는 대안은 일부 면책기준 완화에 그치고 이들 금융사가 신규자금 지원으로 떠안게 되는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없어 시큰둥한 반응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2일 “PF발 불안 요인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사업성 평가기준 개편과 부실 사업장 정리·재구조화 등을 차질 없이 이행해달라”고 당부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현섭 송현섭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