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야후 지분 매각, 한일 양국 정부 갈등 심화 가능성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네이버 측의 라인 야후 강탈 시도에 대한 미흡한 대응이 한일 양국 간 대결 구도를 조성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4일 증권업계와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라인야후 지분구조는 네이버(50%), 소프트뱅크(50%)가 출자한 라인야후의 지주회사인 A홀딩스(64.5%)가 지배하는 구조이다. 일본에서 라인 사용자는 9500만명으로 우리나라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 |
▲ 라인야후 도쿄본사 [사진=연합뉴스] |
라인은 사실상 네이버가 개발하고 관리하는 메신저로 일본 국민 80%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구독경제를 형성할 기반을 갖추고 있는 플랫폼이다. 특히 라인 서비스중 하나인 라인워크는 일본 기업뿐만 아니라 일본 지자체에서도 세금 납부시스템 등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라인은 태국, 대만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호주 홍콩 남아공 아르헨티나 미국 멕시코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글로벌 점유율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였다.
이에 따라 일본 내에서는 라인의 국적을 어디로 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상황이었다.
라인야후는 지난해 11월 라인 앱 이용자, 거래처, 네이버 직원 등의 개인 정보 51만건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라인야후의 서버는 일본에 있지만, 이 서버는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관리된다. 해커가 네이버 클라우드를 해킹해서 라인의 고객 정보에 접근한 것이다. 당시 라인야후는 “관계 회사인 한국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10월에 제3자의 부정한 접근이 있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를 빌미로 네이버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고 있다. 라인으로부터 한국 자본의 영향력을 배제하려는 목적이란 것이 업계의 진단이다. 네이버는 역시 A홀딩스의 지분매각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며, 21세기판 디지털 임진왜란이라는 한일 대결 구도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라인야후는 한국 기업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고 성장한 플랫폼인데, 이를 두 눈 뜨고 뺏기겠다는 네이버에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여론의 칼끝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금까지 뒷짐만 지고 있던 우리 정부를 향하자, 결국 용산 대통령실은 13일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우리 기업 의사에 조금이라도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 대해선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일각에서 반일을 조장하는 프레임이 국익을 훼손하고, 우리 기업을 보호하고 이해 관계를 반영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며 양국 대결 구도에 대한 부담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민주당 등 야권은 “윤석열 정부의 대일 ‘저자세 외교’가 라인사태를 낳았다”며 “여론무마용 대처가 아닌, 실질적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들도 “기술 유출과 라인 사태로 벌어질 고용파탄을 막아달라는 요청이 반일이고 국익 훼손인가”라고 반문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가 소프트뱅크와 일본 정부에 대해 단호한 입장 표명이 아쉬운 대목이었다”며 “라인 야후 지분 매각 문제는 한일 간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기에 양국 정부와 네이버 그리고 소프트뱅크는 이 문제를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