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증권사 접대받은 직원 징계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홍콩증시 급락으로 H지수와 연계된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초비상에 들어간 금융권이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모든 ELS(주가연계증권)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했는데 H지수 등 금융시장의 잠재적 변동성 확대를 우려한 은행 비예금상품위원회 권고에 따른 것이다. 익스포저 문제가 불거지기 전인 작년 10월 ELS 판매를 중단한 NH농협은행과 같은 조치다.
![]() |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KB국민은행의 경우 ELS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실무 담당자가 증권사들로부터 접대를 받은 사실을 뒤늦게 확인한 뒤 해당 직원을 보직 해임하는 등 징계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최근 H지수 급락으로 만기가 돌아온 ELS 투자원금 손실률은 최고 56.1%까지 급등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판매한 H지수 기초 ELS 상품 가운데 올해 들어 19일까지 모두 2296억원의 원금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부터 홍콩H지수 연계 ELS 상품의 주요 판매사 12곳에 대한 현장점검을 진행 중이다. 일단 KB국민·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등 5개 은행과 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KB·NH·키움·신한투자증권 등 7개 증권사를 대상으로 하는 금감원 점검이 끝나면 손실보전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금감원은 지금까지 현장검사 과정에서 일부 규정을 지키지 않은 영업사례를 포착했다고 밝힌 바 있으나 구체적인 제재나 손실보상은 결과가 나온 뒤에야 검토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일반 투자자에 대한 영업과정에서 불완전 판매문제는 예상보다 크지 않다고 보고 있으나 당장 대규모 투자원금 손실로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DLF(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 사태 등이 금융당국의 지도로 판매사들이 투자자의 일부 손실보전으로 귀결됐던 만큼 같은 과정을 밟을 가능성이 현재로선 가장 높다.
반면 판매사의 대규모 불완전 판매혐의가 확인되지 않거나 현지 금융시장과 증시의 변동성 확대를 금융사들이 예측하기 힘든 이유로 법적인 책임소재를 가리기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이 와중에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29일 국회 정무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개인적 견해를 전제로 ELS 상품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는 야당의 주장에 동의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2월 안으로 판매사에 대한 현장점검을 신속하게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수장들의 이번 발언에 즉각적인 반응은 하나은행에서 나왔는데 H지수 연계형은 물론 다른 기초자산의 ELS까지 모두 판매를 중단한 것이다. 다른 은행들도 현재 ELS 상품 판매를 가급적 자제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ELS 잠정 판매중단 행렬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 29일 국회 정무위 회의에서는 은행에서 ELS를 판매하는 제도적 미비점과 함께 고위험 투자상품에 대한 금융소비자 보호대책을 보강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졌다. 김주현 위원장은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가 나오면 관련 제도의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즉답했다.
김 위원장은 또 ELS뿐만 아니라 모든 금융투자상품이 위험하다고 언급했고 이복현 원장도 고위험 상품을 어떤 창구에서 판매토록 하는 것이 소비자 보호에 맞는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7개 은행을 비롯한 H지수 ELS 상품 판매사의 책임과 투자자의 손실보전 요구에 대한 공방은 빠르면 오는 3월 시작될 전망이다. 더불어 금융당국의 금융투자상품 판매 채널과 상품 구조, 리스크 요소에 대한 소비자 보호제도 전반의 개선 방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