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정진성 기자] 네이버 밴드가 미국에서 지난 10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MAU) 500만 명을 돌파하는 쾌거를 이뤘다.
![]() |
▲ 그래픽=네이버 |
또한 2020년 대비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도 2배 이상 증가하며 성장세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네이버는 20년 이상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운영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맞춤형 기능을 개발하고, 밴드의 활용 범위를 더욱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지식iN, 블로그, 카페 등 대표 커뮤니티 서비스에 이어, 2012년에 차세대 커뮤니티 서비스 ‘밴드(BAND)’를 출시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모바일을 통한 소셜 미디어 사용 비중이 높아지면서, 밴드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그룹형 소셜 미디어로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국내에서는 ‘취향 공동체’를 지향하는 MZ 사용자 특성에 맞춰 관심사를 중심으로 편리하게 모임을 가질 수 있는 소모임, 자기 계발 트렌드를 겨냥한 미션 인증 기능을 출시하며, 약 1800만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를 보유한 독보적인 그룹형 소셜 미디어로 입지를 굳혔다.
하지만 네이버는 국내 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출시 2년 만인 2014년,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밴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밴드는 코로나19로 인한 침체기에도 미국에서 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2020년 이후 MAU가 2배 이상 증가하며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들을 탄생시킨 미국에서 한국 1세대 소셜 미디어가 지속적인 해외 사용자 유입을 이끌어내 500만 MAU를 돌파한 것은 유례없는 성과다.
미국에서 밴드의 성장을 견인한 사용성은 방과후활동이다. 미국은 스포츠, 치어리딩, 댄스 등 방과후활동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학생, 학부모, 코치 등 다양한 사용자가 소통하는데 그룹형 소셜 미디어인 밴드를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 내 초·중·고등학교에서 수업 및 학급 관리를 위해서도 밴드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종교, 회사, 취미, 가족, 스카우트, 비영리단체 등 다양한 분야로 밴드의 사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