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확진자 28만2987명 "사흘만에 30만명 아래"...사망 229명 '일일 최다'·위중증환자 1116명

사회 / 류수근 기자 / 2022-03-11 13:10:29
경기 7만2427명·서울 5만6603명·부산 2만2920명·경남 2만1428명 순
누적 사망자 9875명 1만명 눈앞...위중증 나흘째 1천명 넘어
중증병상 가동률 전국 61.5%...수도권 57.3%, 비수도권 71.7%
재택치료자 131만8051명...집중관리군 19만6177명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만에 30만명 아래로 내려왔다. 그러나 하루 사망자는 역대 최다를 기록했고 위중증 환자도 나흘 연속 1천명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새 28만2987명 새롭게 발생해 누적 확진자수는 582만2626명(해외유입 3만130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 11일 0시 기준 코로나19 지역별 확진자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9일(34만2438명)과 10일(32만7549명) 30만명대를 기록했던 하루 신규 확진자수는 전날보다 4만4562명이 줄면서 20만명대 후반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전전날과 전날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많은 확진자수를 보였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 지역발생은 28만2880명, 해외유입은 107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중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도권에서 51.8%인 14만6477명, 비수도권에서 48.2%인 13만6403명이 확진됐다. 수도권은 직전일(54.0%)보다 비중이 낮아졌지만 비수도권은 직전일(46.0%)보다 높아졌다.

▲ 10일 저녁 잠실 종합운동장 선별진료소 모습. [서울=연합뉴스]

17개 광역지자체 중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등 13개 시도는 전날보다 줄었지만 광주, 충남, 전남, 경남 등 4개 시도는 전날보다 늘었다.

1만명 이상 시도는 총 8곳이었다. 경기 7만2420명, 서울 5만6600명, 부산 2만2917명, 경남 2만1422명, 인천 1만7457명, 충남 1만798명, 대구 1만307명, 경북 1만315명 등 순이었다.

국내 지역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4만2860명(15.2%)이고 18세 이하는 7만2274명(25.5%)이다. 지자체 발표 확진자 기준인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제외)을 합한 신규 확진자수는 경기 7만2427명, 서울 5만6603명, 부산 2만2920명, 경남 2만1428명, 인천 1만7458명 등이다.

확진자수 급증세가 유지되면서 사망자와 위중증환자도 빠르게 늘고 있다.

▲ 사망자와 위증증환자 추이.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전날 하루 사망자는 229명으로 전날(206명)에 이어 이틀연속 200명대를 기록했다. 229명은 종전 최다 기록인 지난 5일(216명)보다 13명이 더 많은 역대 일일 최다 사망자수다.

이날 사망자를 연령별로 보면 80세 이상이 150명으로 65.50%를 차지했고, 70대 49명, 60대 18명으로 60세 이상 사망자가 217명으로 전체의 94.8%에 이르렀다. 이어 50대 7명, 40대 4명, 20대 1명이었다.

누적 사망자수는 9875명으로 늘었다. 최근 1주간 일평균 사망자가 185명임을 감안하면 12일에는 누적 사망자수가 1만명을 넘을 가능성이 크다. 누적 치명률은 0.17%다.

▲ 사망자 및 위중증 환자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위중증 환자는 1116명으로 전날보다 3명이 더 늘었다. 지난 8일 이후 나흘 연속(1007명→1087명→1113명→1116명) 1천명대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953명으로 82.2%를 차지했다. 80세 이상(382명)과 70대(331명)가 300명대였고, 60대가 240명이었다. 50대와 40대는 각각 85명, 31명이었고, 30대와 20대는 각각 23명과 17명이었다. 10대와 10대 미만도 각각 3명과 4명이었다.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면서 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높아지고 있다.

▲ 위중증 병상 가동률.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코로나19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전국 2751개 중 1693병상을 사용해 61.5%의 가동률을 보였다. 전날(61.1%)보다 0.4%포인트 높아졌다. 수도권 가동률은 57.3%(1936개 중 1109개 사용), 비수도권 가동률은 71.7%(815개 중 584개 사용)에 달했다.

중등증의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전국 61.9%(4749개 중 2940개 사용), 경증의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전국 25.5%(2만154개 중 5136개)로 집계됐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131만8051명으로, 전날 새롭게 28만9232명(수도권 14만6238명, 비수도권 14만2994명)이 증가했다.

재택치료 관리의료기관의 건강 모니터링을 받는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은 19만6177명으로 전체 재택치료자 중 14.9%를 차지했다.

▲ 최근 1주간 검사 및 확진자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의 통합 검사는 74만4401건 진행됐다. 이날 0시 기준 검사 양성률은 62.2%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2차까지 기본접종을 마친 비율)은 이날 0시 기준 86.5%(누적 4441만4213명)이다. 12세 이상은 94.3%, 18세 이상은 96.2%, 60세 이상은 95.6%이다.

3차 백신 접종은 전체 인구의 62.3%(누적 3197만9242명)가 마쳤다. 18세 이상은 72.2%, 60세 이상은 88.6%이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