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한 소비와 투자로 미래 대비해야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5대 은행 가계대출이 2년 11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급증하며 ‘빚투영끌’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에 앞서 빚을 늘리는 행위는 금융 시장 불안을 가중시키고 개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 4일 기준 710조 7천 55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6월 말 대비 2조 1천 835억 원이나 증가한 수치다. 특히 주택 거래 회복과 더불어 주택담보대출이 8천 387억 원 늘어 552조 9천 913억 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가계대출 급증세는 하반기 금리 인하 예상에 따른 빚투영 끌로 분석된다. 실제로 금융권은 대출자들이 아직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피벗(통화정책 완화)을 확신하고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금리 인하 기대에 섣불리 빚을 늘리는 것은 자칫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금융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한 금융 관계자는 “금리 인하가 실제로 이루어지더라도 개인의 재정 상황과 상환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빚은 오히려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게다가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지거나 규모가 작을 경우, 대출자들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전했다.
빚투영 끌은 개인의 경제적 어려움뿐 아니라 금융 시장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 가계 부채가 늘어나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대출자들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으면 금융기관의 불량채권이 증가하여 금융 시스템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에 섣불리 빚을 늘리는 한탕주의는 삼가야 한다. 현명한 소비와 투자를 통해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개인의 재정 상황과 상환 능력을 꼼꼼히 살펴본 후 신중하게 대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와 금융기관 또한 빚투영 끌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금융 교육을 강화하고 소비자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금융기관은 무분별한 대출 심사를 자제하고 신중한 대출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