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동훈 기자] 고려아연이 이차전지 원천기술에 이어 전략광물자원인 안티모니 제련 기술과 아연 제련 독자기술(Hematite공법)에 대해서도 국가핵심기술 지정을 추진한다.
고려아연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 이와 관련한 2건의 제련 기술에 대해 국가핵심기술 추가 지정 건의서를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추진중인 기술은 금속 제조 과정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경제성과 효율성도 함께 높일 수 있는 기술인 ‘격막 전해 기술을 활용한 안티모니 메탈 제조 기술’과
아연 제련 과정에서 철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인 ‘가입 침출 기술을 활용한 황산아연 용액 중 적철석(Hematite) 제조 기술’이다.
고려아연은 “방위 산업과 첨단 기술 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희소금속인 안티모니의 특성과 중국의 안티모니 전략 자원화 정책 등을 감안할 때 해당 기술의 해외 유출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며 “고려아연의 기술을 통한 안티모니의 국내 생산이 국가 안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고려아연의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전구체 원천 기술을 국가핵심기술과 국가첨단전략기술로 판정했다. 정부는 반도체와 원자력, 전기전자, 로봇 등 기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아 해외로 유출될 경우 국가 안보 및 국민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한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면 해당 기술을 기관이나 기업은 법률에 따라 보호 조치를 실시해야 하고 해당 기술을 수출하거나 해외 인수합병, 합작 투자 등 외국인 투자를 진행하려는 경우에는 산업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고려아연은 정부 승인 없이는 해외에 매각할 수 없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