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송현섭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최근 3년간 DC(확정기여형)·IRP(개인형) 퇴직연금 고객 1만912명의 수익률 분석결과 미국 ETF(상장지수펀드) 성과가 가장 우수했다고 17일 밝혔다.
3년이상 운용, 잔고 1000만원 이상, ETF 보유액 50% 이상인 DC·IRP 고객 1만912명의 3년간 수익률을 분석에서 6월말 기준 미국 ETF 50%이상 보유 고객 수익률이 25.91%에 달했다.
![]() |
▲미래에셋증권이 최근 3년간 DC(확정기여형)·IRP(개인형) 퇴직연금 고객 1만912명의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미국 ETF(상장지수펀드) 성과가 가장 우수했다. 미래에셋증권 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 |
이는 대상 고객 전체 평균 수익률인 15.48%를 크게 웃도는 성과다. 이번 조사에서 미국을 포함한 해외 ETF에 50%이상 투자한 고객 수익률은 17.69%였으며 미국에 투자하지 않은 고객 수익률의 경우 9.56%로 평균치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사 퇴직연금 잔고 상위 20개 ETF 가운데 미국에 투자하는 ETF로 ▲타이거(TIGER) 미국 나스닥100 ETF ▲타이거 S&P500 ▲타이거 미국테크TOP10 INDXX ▲타이거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 ▲코덱스(KODEX) 미국S&P500TR 순으로 매수세가 컸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3년간 수익률 측면에서 미국 S&P 500지수가 다른 시장을 앞질러 회복세를 보이는덷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6월말 기준 미국 S&P500지수는 44% 올라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같은 시기 유럽 유로스톡스(EuroStoxx)50지수는 36%, 코스피 22%, 중국 상해 종합지수의 경우 7%로 미국 S&P지수의 급등세로 수익률에서 다른 국가 지수를 뛰어넘은 것으로 파악된다.
최종진 미래에셋증권 연금본부장은 “미국 증시는 세계 시가총액의 40%를 차지하고 다양한 글로벌 1등 기업들이 상장돼 있다”며 “유럽과 중국 등 다른 주요국 지수에 비해 고객들의 수익률 제고를 위해서 효과적인 투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