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샌들·슬리퍼', 통증·변형 유발 주의

건강·의학 / 주영래 기자 / 2025-07-10 10:47:53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무더운 여름철, 통풍이 잘되는 샌들이나 슬리퍼 등 발이 노출되는 신발의 착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족부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여름 신발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발 통증, 피부 손상, 근골격계 변형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부평힘찬병원 김유근 정형외과 병원장은 “발의 변형과 질환은 신발 착용 이후 급증했다”며 “본인에게 맞는 신발을 고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 김유근 부평힘찬병원 원장이 환자를 진료하고있다. 

여름철 많이 신는 슬리퍼와 샌들은 뒤축이 없는 구조로 발등만 밴드나 끈으로 고정해 앞쪽 발에 과도한 힘이 집중된다. 이러한 신발은 걸을 때 충격 흡수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발목 염좌나 근육 손상 위험도 높다.

쿠션이 얇거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친 신발 역시 족저근막염, 무지외반증, 지간신경종(몰톤씨족지)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바깥으로 휘며 관절이 돌출되는 증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빈도를 보인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근막에 반복된 손상으로 생기며, 특히 아침 첫 걸음이나 오랜 정지 후 보행 시 통증이 두드러진다. 지간신경종은 신경이 압박돼 통증 및 저림 증상이 나타나며, 플랫슈즈 등 발볼이 좁은 신발 착용 시 위험이 크다.

여름철 신발로 인해 발뒤꿈치에 굳은살이나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현상도 자주 나타난다. 이는 외부 압력과 피부 건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통증과 함께 피부 갈라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의들은 굳은살 제거 후에도 반복된다면 근본 질환 유무 확인이 필요하며,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해 풋크림 등 보습 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쿠션감이 충분하고 안정감 있는 신발 선택이 필수다. 신발은 굽 높이 5cm 이하, 바닥 패딩 우수, 부드러운 윗재질이 이상적이며, 양쪽 발 크기에 맞춘 구매가 바람직하다.

김유근 병원장은 “보행에 필수적인 발은 평소의 작은 통증이라도 방치하지 말고 점검해야 한다”며 “발가락을 벌리는 내재근 운동 등 자가 근력 체크도 발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