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4차 유행이라 이득이 클 수 있는 상황"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접종 가능 연령이 50세 이상에서 30세 이상 희망자로 확대됐다.
그간 희귀 혈전증인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발생을 우려해 50대 이상에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도록 권고해 왔다. 그러나 정부는 의료 현장에서 잔여백신 폐기가 잇따르자 잔여백신에 대해서만 희망자에 한해 만 30~49세 연령층도 가능하도록 하향 조정했다.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장(질병관리청장)은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오늘(13일)부터 위탁의료기관, 보건소 등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을 30세 이상 희망자 대상으로 접종이 가능하도록 잔여백신 접종안을 변경하여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정부가 잔여백신에 대해서만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연령대를 30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일러스트=연합뉴스] |
30세 이상 희망자에 한해, 위탁의료기관 등의 예비명단을 통해서는 13일부터 이미 가능하고, 네이버와 카카오등 SNS 당일예약을 통해서는 오는 17일부터는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을 접종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의료현장에서는 지난 12일부터 60∼74세 등 상반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자에 대한 2차 접종이 진행되면서 잔여백신이 대거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연령이 제한돼 있어 폐기량이 많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돼 왔다.
이에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국가예방접종사업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연령, 권고연령은 50세 이상으로 유지하되, 국내 코로나19 방역상황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가용물량 등을 고려해 얀센과 동일하게 3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희망하는 희망자에게는 접종기회를 부여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
현재 50세 미만 연령층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고 있어 희망자가 50세 미만인 경우에는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을 받게 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도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1차접종을 받을 경우, 2차접종 예약일은 8주를 기준으로 유지하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4~12주 범위 내에서 2차 접종일을 조정할 수 있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희망자가 접종 권고연령 그리고 이상반응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접종에 동의할 수 있도록 접종기관에서는 접종 전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수 있도록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얀센 백신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접종 후 매우 드물게 이상반응으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지난 4월 11일 '30세 이상'으로 권고했다가 국내에서도 30대에서 TTS 사례가 발생하자 지난달 1일 '50세 이상'으로 접종 권고연령을 높인 바 있다.
이에 따라 비록 잔여백신 희망자에 제한적으로 허용하더라도 접종 연령을 다시 낮춘 데 대해 안전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단장은 “현재 18세 이상 50대 사이에는 mRNA(화이자, 모더나 등) 백신으로 예약이 진행되고 있고 희망에 따라서 접종을 받으실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50대 미만에서 의무적으로 받아야 되는 그런 의미가 아니다”며 “허가의 범위를 고려하고, 또 4차 유행의 상황, 접종을 신속하게 맞아야 되는 상황들을 고려해서 개인의 동의, 희망 하에 잔여백신의 접종을 맞을 수 있게 기준을 일부 변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단장은 또 “현재 1200만회 정도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진행이 돼서 어느정도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들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참고한 것"이라며 "30세 이상이 모두 맞아야 된다는 게 아니라 맞을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본인의 선택하에 좀 더 일찍 맞기를 원하는 사람들 중에 맞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지, 예방접종 계획상 50대 이하에 대해서 아스트라제네카만 의무적으로 맞도록 접종계획을 짠 게 아니라는 것이다.
정 단장은 그러나 “그분들이 선택권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얼마나 희망할 지는 예측하기 어렵다”며 “그런 기회를 좀 더 제공하는 의미정도로만 이해해주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이번에 권고 연령을 바꾼 데 대한 과학적 근거와 안정성을 묻는 질문에는 “연령별 접종의 이득과 위험은 방역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저희가 (50세 이상으로) 권고연령을 결정했을 때는 4차 유행 이전이었다”며 “현재 4차 유행이 진행중인 상황에서는 그런 이득이 좀 더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호주 같은 경우도 델타 변이로 방역상황이 변경됨에 따라서 권고 연령을 18세로 낮춰서 선택권을 줘서 희망자가 접종할 수 있게끔 하면서 접종 속도를 높이는 사례들도 있다”고 부연했다.
정 단장은 이어 “50대 권고 연령은 유지하지만 4차 유행으로 감염에 대한 위험이 좀 더 높아진 상황에서 본인이 희망할 경우에는 이런 이상반응에 대한 확률, 위험성 이런 부분 등의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희망자에게 접종 기회를 열어두는 의미 정도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