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의 혁신적 후성 유전자 표적 항암 치료제가 국가지원 신약개발사업 과제에 선정됐다.
한미약품은 불응성 악성 혈액암과 고형암의 새로운 표적 항암 신약으로 개발 중인 발암 유전자(EZH1·EZH2) 이중 저해제(HM97662)가 국가신약개발재단의 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난달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신약으로 개발 중인 '랩스 글루카곤 아날로그(LAPSGlucagon Analog·HM15136)'가 28개월간 연구비 지원사업에 선정된 데 이어 두 번째다.
![]() |
▲ 한미약품 연구센터 |
국가신약개발사업은 제약기업과 학·연·병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바탕으로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한미약품은 HM97662에 대한 국가 연구비 지원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전임상 개발을 조속히 마치고, 임상 단계 진입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후성학적 유전자 EZH2는 현재 치료제가 없거나 기존 항암요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다수의 재발 혹은 불응성 암종에서 돌연변이 또는 과발현돼 나타나는 발암 유전자다.
단, EZH2를 선택적으로 저해할 경우에는 EZH1이 상보적으로 활성화돼 내성을 유발하므로 EZH2와 EZH1를 동시에 억제하는 저해제가 필요하다. 한미약품은 HM97662가 전임상 연구를 통해 EZH1·EZH2 이중 저해로 강력한 항암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기존 약제에 효과를 보이지 않는 불응성·내성 환자 치료를 위한 한미의 신약 개발이 이번 연구비 지원으로 보다 빠르게 임상에 진입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