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MZ세대를 중심으로 무알콜·논알콜 맥주가 단순한 ‘대체 음주’가 아닌, 일상 속 기분 전환용 음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알코올 없이도 ‘맛과 분위기’를 함께 즐기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이네켄코리아가 오픈서베이와 함께 2030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56.4%가 ‘특별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마신다’고 답했다. 이는 음주 대체재를 넘어 하나의 독립적인 음료 카테고리로 인식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
▲ MZ세대를 중심으로 무알콜·논알콜 맥주 선호가 증가하고있다. |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선택한 주요 이유로는 ▲마시기 편해서(62.8%) ▲탄산음료와는 다른 기분을 원해서(53.9%) ▲음식과 어울려서(26.6%) ▲맛있어서(21.6%) 등이 꼽혔다. 특히 ‘기분 전환’과 ‘맛’을 모두 만족시키는 음료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는 셈이다.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선택 기준은 ‘맛’(83.6%)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으며, 뒤이어 ▲가격(62.0%) ▲알코올 함량(35.8%)이 뒤를 이었다. 이는 2022년 조사와 동일한 순위로, 맛 중심의 소비 경향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월 1회 이상 마신다는 응답자는 76.6%로, 2022년 대비 10%p 이상 증가했다. 응답자의 86.8%는 앞으로도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자주 마시겠다고 밝혀, 시장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음식과의 페어링 트렌드도 주목된다. ‘술을 마시지 않을 때 음식과 함께 무엇을 마시느냐’는 질문에는 탄산음료(37.0%)가 가장 많았으나, 무알콜·논알콜 맥주(23.2%)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했다. ‘술 마시는 기분은 내고 싶지만 알코올은 피하고 싶다’는 응답자 중 59.5%는 무알콜·논알콜 맥주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하이네켄코리아 김준형 커뮤니케이션 매니저는 “이제 무알콜·논알콜 맥주는 특정 상황에서의 대안이 아니라, 일상의 취향 음료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음식과의 페어링, 분위기 연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즐기는 소비 트렌드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