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면허정지·구속" 방침에도 전공의 70% 사직서 제출
[메가경제=정진성 기자]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의료계 집단행동에 정부가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를 최상위인 '심각'을 발령하고 한덕수 국무총리는 공공 의료기관 진료를 확대하겠다고 표명했다.
![]() |
▲ 한덕수 국무총리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 총리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를 주재하면서 "모든 공공 의료기관의 평일 진료 시간을 가능한 최대로 연장하고, 주말과 휴일 진료도 확대해 공공의료기관 가동 수준을 최대치로 올리겠다"며"중증·위급환자의 이송과 전원을 컨트롤하는 광역응급상황실을 내달 초 4개 권역에 신규로 개소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응급환자가 '골든 타임' 내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집중 관리하고 병원에서 임시·의료 인력을 추가 채용할 수 있도록 중증·응급 환자 최종 치료 시에는 수가를 2배 늘리기로 했다.
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에 전공의들의 병원 이탈, 의사단체들이 궐기 행동에 나서면서 환자들과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의 '신음'이 깊어지고 있다.
이날 정부에 따르면 전체 전공의 대부분이 근무하는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서 존체 전공의 1만 3000여명 중 지난 21일까지 927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보건복지부는 업무개시명령에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에 '의사면허 정지', 법무부는 집단행동 주동자에 대한 '구속수사' 원칙을 내세우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집단행동이 아니다. 자유로운 결정으로 이를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