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넷플릭스 인기 시리즈 오징어게임의 시즌2 공개를 앞두고 현실에서도 생존 게임을 방불케 하는 ‘체중 감량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젠지세대(10~20대)를 중심으로 SNS에서 확산되는 극단적인 다이어트 콘텐츠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온라인상에서는 ‘1일 0식 도전’, ‘일주일 10kg 감량 챌린지’ 등 단기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한 다이어트 콘텐츠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일부 콘텐츠는 실패를 ‘탈락’으로 규정하며, 마치 서바이벌 게임을 연상케 하는 자극적인 연출을 더해 주목을 끌고 있다.
![]() |
▲ 극단적 다이어트는 청소년 건강에 독이 될 수 있다. |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청소년의 신체 및 정신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365mc 영등포점 손보드리 대표원장은 “더 많은 관심을 끌기 위해 다이어트가 점점 더 극단적으로 변하고 있다”며 “특히 마른 몸을 미의 기준으로 삼는 이른바 ‘뼈말라’ 트렌드는 청소년에게 섭식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음식 섭취를 극단적으로 제한하거나 거부하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경우,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사망률이 5~18%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뇌 발달 저하, 면역력 약화, 골다공증, 생리불순 등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신 건강 문제도 뒤따른다. 반복적인 단식은 불안, 우울, 충동조절장애 등을 유발하며, 특히 ‘신체이형장애’로 발전할 위험도 있다. 신체이형장애는 외형에 큰 이상이 없음에도 자신이 뚱뚱하거나 흠이 있다고 믿는 정신질환의 일종이다.
손 원장은 “청소년기에 외모에 대한 불안이 지나치게 커지면, 성인이 된 후에도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는 “다이어트는 단기간에 목표를 달성하는 게임이 아닌, 평생 지속 가능한 건강한 생활 습관”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SNS에서 유행하는 비과학적이고 자극적인 다이어트 방식에 현혹되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손 원장은 건강한 청소년기 다이어트를 위한 실천 방안으로 △식사량은 줄이지 말되 간식은 자제 △가공식품보다 자연식품 섭취 △줄넘기·걷기·수영 등 하루 30분 운동 △7~9시간 수면 △하루 1.5L 이상의 물 섭취 등을 제시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