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쟁점으로 밀린 연준 금리 조정 시기

글로벌경제 / 이동훈 / 2024-05-05 14:06:14
11월 대선 전후로 행동 예상, 경제 지표 등 고려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 11월 미국 대선을 전후로 행동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당초 올 6월로 예상됐던 연준의 금리 조정 시기가 정치적 쟁점으로 점차 밀리면서, 글로벌 경제계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일 연방기금금리를 연간 5.25~5.50%로 또 동결했다. 지난해 9월 이후 6회 연속 동결이다.

그러나 대다수 기업 관계자들은 연준의 금리 결정 시기가 올 대선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며 촉각을 곤두세우는 양상이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와 민주당은 금리인하를 중앙은행에 요구하고 있지만, 중앙은행 내부에서는 금리인상에 대한 의견이 점차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철강업계 관계자는 메가경제에 “미국 대선 전후를 기점으로 연준의 피벗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의 금리 피벗은 세계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준은 최근까지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동결 정책을 펼쳐왔으나, 경기 침체와 금융 시장 변동성 심화로 인해 금리 인하 찬반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리인하 지지자들은 과도한 금리 인상은 경기 침체를 가속화하고 실업률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또한 미국, 유럽 등 주요 경제권의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금리 인하를 통해 경제 성장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강조한다.

반면 금리 인상 유지를 주장하는 측은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에너지 가격 상승과 공급망 문제로 인한 지속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현재 상황을 종합해볼 때,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은 경제 지표, 물가 상황, 금융 시장 변동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동훈 이동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