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암 2위 '전립선암' 급증…무증상 많아 조기진단 필수

건강·의학 / 주영래 기자 / 2025-06-17 08:01:53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전립선암이 남성 암 발생률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도에만 20,754명이 신규로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으며, 이는 전년도 4위에서 두 계단 상승한 수치다.

 

현재 전립선암 유병자 수는 14만7,684명으로, 전체 남성 암 유병자(113만 2,485명) 중 약 13%를 차지한다.
 

▲ 손정환 분당제생병원 비뇨의학과 진료부장이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아래에 위치한 생식기관으로, 주로 정액의 일부를 생성하고 정자의 운동을 돕는다. 이 부위에 생기는 악성종양인 전립선암은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하며, 특히 65세 이상 남성에서 발생률이 높게 나타난다.

의료계는 국내 전립선암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급격한 고령화, ▲서구화된 식생활, ▲비만 증가, ▲흡연 등을 지목하고 있다.


분당제생병원 손정환 비뇨의학과 진료부장은 “전립선암은 대부분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매우 경미해 발견이 늦어질 수 있다”며 “증상이 나타난 후 진단되면 이미 병기가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전립선암은 요도에서 떨어진 전립선 주변부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배뇨 증상이 늦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전립선비대증’과 혼동되는 경우도 많다.
배뇨 시작 지연(지연뇨), 소변 줄기 약화, 야간뇨, 잔뇨감 등은 양성 질환과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다.

진단은 ▲직장 수지검사,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를 기본으로 하며,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초음파, ▲조직 생검, ▲MRI, ▲CT, ▲골스캔 등을 통해 병기 확인과 치료 방향이 결정된다.

치료는 ▲수술, ▲방사선요법, ▲호르몬차단요법, ▲항암치료 등이 있으며, 암이 전립선 내에 국한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주로 시행된다. 최근에는 로봇수술 장비의 도입으로 수술 정확도가 높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손 부장은 “전립선은 골반 깊숙한 곳에 위치해 수술이 까다롭지만, 로봇수술을 활용하면 정밀한 절제가 가능하고 신경 손상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전립선암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도 강조하고 있다. ▲고지방·고칼로리 식단 줄이기, ▲신선한 채소·과일·콩류 섭취, ▲주 4~5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이 예방에 효과적이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