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C인삼공사, 지식재산권 전략 강화… 중장기 R&D 경쟁력 고도화

유통·MICE / 주영래 기자 / 2025-07-02 07:52:02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KGC인삼공사(정관장)가 지식재산권(IP) 확보에 박차를 가하며 중장기 R&D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고도화와 맞물려 TRM(Technology Roadmap) 기반의 기술 개발 전략을 통해 차별화된 기술력과 품질 우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KGC인삼공사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등록한 특허는 직전 5개년(20152019년) 대비 약 1.8배 증가했다. 올해 15월 기준으로만도 전년 동기 대비 약 2.3배 증가한 23건의 특허를 등록하며 기술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 KGC인삼공사, 지식재산권 전략 강화

특히, 홍삼오일을 활용한 기능성 확대 연구에서 두각을 보였다. ‘홍삼오일 포함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는 치주인대 세포의 항염 효과 및 치조골 재생에 대한 효능을 입증한 결과로, 구강 건강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홍삼오일의 안정성 및 경피흡수율이 개선된 조성물 및 제조법’ 특허는 나노캡슐 기술과 천연 원료인 매스틱검을 활용해 피부 흡수율을 크게 개선한 점이 특징이다. 동일한 함량의 홍삼오일을 이용해 더 높은 생리활성 효과를 낼 수 있어, 다양한 제품군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

이번 특허는 앞서 2003년 홍삼오일이 남성 전립선 건강을 위한 개별인정형 원료로 공식 인정받은 이후, 과학적 기반의 후속 연구를 이어온 결과물이다. 해당 원료를 적용한 남성 건강기능식품 ‘알엑스진’은 6차례 완판 기록과 높은 재구매율을 보이며 시장성을 확인했다.

원료 관리 차원의 연구개발도 강화 중이다. 최근 4건의 특허를 통해 마록 유래 녹용, 작약, 지황, 황정을 DNA 기반으로 구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 기술을 확보했다. 이는 한방 원료의 품종별 판별 신뢰도를 높여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현재까지 KGC인삼공사가 등록한 특허는 총 431건으로, 이 중 인삼 및 홍삼 관련 특허가 250여 건, 비홍삼 소재 관련 특허는 180여 건에 달한다. 2013년까지는 면역·심혈관·기억력 개선 등의 전통적 기능성 중심이었으나, 2014년 이후 장 건강, 시력, 호르몬 등 현대인의 건강 니즈를 반영한 특허 출원도 확대됐다.

인삼 고유 품종에 대한 보호도 강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KGC인삼공사가 확보한 인삼 품종보호권은 국내 17건, 해외 2건 등 총 19건으로, 이는 국립종자원에 등록된 전체 인삼 품종(40건) 중 약 60%를 차지하는 수치다. '천풍', '연풍', '청진', '선명' 등 다양한 특성의 품종이 개발돼 품질 고도화와 안정적 재배에 기여하고 있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지식재산권 중심의 R&D 강화 전략을 통해 인삼과 홍삼 제품의 기술적 차별화를 이어가고 있다”며 “지재권 기반 경쟁력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 전반의 활력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