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의 식품사업 수익구조 지속 개선의 성과가 가시화됐다.
9일 발표된 2분기 실적은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6.6% 증가한 6조3092억원, 영업이익은 22% 늘어 4696억원을 기록했다.
![]() |
CJ대한통운의 실적을 제외하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8.5% 성장한 3조7558억원, 영업이익은 26% 늘어 379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인데, 지난 2011년 IFRS 도입 이후 분기기준 처음으로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10.1%를 달성했다.
CJ제일제당은 "식품사업 수익구조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원·부재료 가격 상승 부담을 최소화하는 한편, 바이오사업 수익성을 극대화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식품사업부문은 매출 2조2126억원, 영업이익 1299억원을 기록했다.
물류비 등 부담 증가에도 강도 높게 진행해 온 수익구조 개선과 사업효율화, 비비고·햇반 등 핵심 제품군의 지속 성장에 힘 입은 결과라고 설명한다.
특히 가공식품 온라인 매출은 23%, B2B 매출은 9% 증가했고, 온라인·B2B·편의점(CVS) 경로를 합친 매출비중이 30%를 넘는 등 성장 경로를 다각화했다.
미국 슈완스를 포함한 해외 매출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기저 부담과 환율 하락 악재에도 1조10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미국 대형 유통채널(Grocery)에서 만두가 시장점유율 1위(38%)에 올랐고, 중국·일본 등 국가에서 K-Food가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판매가 크게 늘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전년대비 23.5% 는 9176억원의 매출과 74.8% 늘은 193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20%를 넘어서며 확고한 고부가가치 사업을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선제적으로 추진한 ▲글로벌 생산거점 다각화를 활용한 원재료 및 물류 비용 상승 대응 ▲차별화된 기술마케팅 기반 사료/축산 시장 ‘저조단백 트렌드’ 주도 ▲알지닌/테이스트엔리치 등 고수익 스페셜티 및 천연 프리미엄 식품소재 육성 등 전략이 주효했다.
사료와 축산 부문인 CJ Feed&Care는 첨단 방역역량 강화와 고부가가치 양어사료 성장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19% 늘어난 6256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곡물가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지고, 베트남 돈가 하락 등 영향으로 13% 감소해 561억원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곡물가격과 물류비용 등이 급등하는 상황속에서 과감한 체질개선을 통해 내실있는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지속적인 신성장동력 발굴, 혁신제품 개발과 전략적 R&D 투자 등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성장을 가속화겠다”고 밝혔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